그림/산사의 풍경

여수 흥국사

nami2 2019. 4. 23. 00:22

          전남 여수시 증흥동 17번지, 여수 영취산 북동쪽 자락에 위치한 흥국사(興國寺)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가 흥하면, 이  절도 흥할 것이라는  나라의 융성을  기원하기 위해 건립된 고찰로서

          고려 명종(1195년)때 보조국사 지눌이 창건한, 보물이 정말 많은 사찰이며

          흥국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 말사이다.

                 흥국사 영취교 다리 앞에서 바라본 , 연두빛 풍경이 참으로 예뻐 보였다.

                 2015년 4월초에 다녀온후, 4년만에 다녀온 흥국사는  변화된 모습이 없어서 보기 좋았다.  

                                              천왕문            

                                         범종각

                                              법왕문

                                               흥국사 대웅전(보물 제396호)

 

                   흥국사 대웅전은  인조2년(1624년) 계특대사가 건물을 3창 하였으나 너무 비좁아서

                   1690년에 통일대사가 개조하여 4창을 하였으며

                   보물로 지정된후 1985년 명선스님에 의하여 해체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규모는 앞면3칸, 옆면 3칸이며,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라고 한다.

             대웅전 앞의 오래된 돌계단의 좌 우로  용머리가 두개씩 조각되어 있는 모습과

             좌 우로  이끼 낀 괘불대가 두쌍이 있고

             

             그 앞에 괘불석주에는 구름속에서 용트림하는 용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상부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가 조각되어 있는데, 괘불석주는 근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대웅전 앞의 거북이 등에 올라앉은 형상의 석등은

                법당이 중생의 깨달음을  얻어 극락정토로 향해 타고 가는 '반야용선'이라는 의미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반야용선은  불교용어로 참된지혜와 깨달음을  얻는 중생이 극락정토로 가기위해 타고 가는 배라는 뜻이다.

                                         흥국사 대웅전  4분합의 빗살문 그리고 문고리

                  흥국사 대웅전의 문고리는 310년이 된것으로 ,한번 잡기만 하면  마흔한분의 원력(인연공덕)으로

                  불가에서 말하는 '삼악도(아귀 축생, 지옥)을 면할 수 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는데...

                  

                  1624년에 대웅전을 지을때 편수로 참여한 마흔한분의 승려들이 천일기도를 하면서

                  누구든지 이 문고리를 잡는 중생들이 삼악도를 면할 수 있 해달라는 원력을 세웠다고 한다.

 

                  대웅전 문고리를  두손으로 잡고 마음속의 소원을 기도하면 소원이 이루워진다고 하여

                  흥국사를 찾는 많은 사람들이 문고리를 잡고, 기도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웅전  뒷쪽의 '해동선관'

                                       팔상전(문화재 자료 제258호)

 

              1690년 통일대사가  흥국사 대웅전을 큰 규모로 다시 지을때, 나온 부재를 바탕으로 하여 지은 것이라고 하는데

              앞면 3칸, 옆면2칸으로 겹처마 팔작지붕이라고 한다.

                               팔상전 의 색다른  입구

                .

                                          흥국사 중수 사적비

 

                       1703년 흥국사 창건과 중수등을 기록한 사적비로 당대의 명문장가인 최창대가 글을 짓고

                       명필이었던 이진휴가 비문을 썼다고 한다.

                                                흥국사 부도군

 

            고려를 대표한 승려로서 흥국사를 창건한 보조국사, 절을 다시 세운 법수대사, 계특대사, 통일대사와

            조선시대 최고 승직인 도총섭이었던 응문과 응암 등...

            이 지역 역사의 한국 불교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적으로 꼽힌다고 한다.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불교계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들의 부도 12기가 모여 있다.

                                                           흥국사 일주문

                     일주문 앞에서 바라본  산자락의 연두빛 색깔들이 눈이 부시게 아름다웠다.

 

                     흥국사는 호국삼부경 가운데  특히 법화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뒷산 이름이 법화경에 설법되었던 인도 영축산과 같은 점이 그 예이다.

                     임진왜란때 크게 활약한 의승 수군의 본거지로서 호국불교의 성지로 불리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