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범어사 산내암자 '대성암'

nami2 2019. 5. 7. 23:42

          정확하게 26년전에 무언가에 홀린듯이 ,사월 초파일(부처님 오신날) 밤에 이곳에 다녀간 적이 있었다.

          범어사 주변의 암자였는데, 그곳이 어디였던가....

          범어사를 그렇게 많이 다녔어도 기억이 나지 않았었는데, 이번에 대성암에 들어가보고나서 기억할 수 있었다.

          대성암은 비구니 스님들께서 수행 정진 하시는 암자라서, 평소에는 들어가기가 조심스러워서 들어가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에 원효암에 다녀오면서, 또다시 무언가에 이끌리듯 대성암 대문안으로 들어가서 

          대성암 전경을 자세히 보았더니 ,26년전의  그 암자라는 것을 기억해냈다.

          그때는 어머니에게 이끌려 다녔던 엉터리 불교신자 였는데,초파일이라서 초파일의 밤풍경이 갑자기 보고싶어서

          범어사에 갔다가, 보이지 않는 누군가에게 홀린듯이 숲속에 있는 암자에 올라갔었던 것 같았다.

            대성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 산내암자인데

            범어사에서 금정산성 북문으로 가는 길, 초입에 있는, 범어사에서 가장 가까운 암자이다.

                  산속이라서 그런지 아직도 박태기꽃이 피어 있었다.

                  .

                                             붓꽃

                                                 해당화

                                                 넝쿨장미

                                       처음보는 꽃이라서 이름을.....

                 .

                   비구니 스님들이 계시는 곳이라서 ,경내 뜰앞은  모란꽃이 제법 피어 있었다.

                                            각해선림(覺海禪林)

 

                26년전 사월초파일 밤에  저곳 툇마루에 앉아서 바라봤던  대성암 마당은

                불이 훤하게 밝혀진 연등으로 인해서, 이곳이 극락세계가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았었다.

                세상에 태어나서 그렇게 장엄한 풍경을 처음 보았던 것 같아서 넋을 잃을 정도 였었으니....

                밤 9시가 넘어서 까지 혼자서 툇마루에 앉아 있다가 산을 내려갔던 기억이 있다.

                   .

                    .

             대성암의 이곳저곳에는  탐스런 모란이 제법 많이 있었다.

             어느곳이든지 비구니 스님들이 계시는 곳의 경내 뜰앞은 예쁜 꽃들이 많이있다는 것이 특색이다.

                범어사 산내암자 대성암은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지만, 기록에 의하면

                1803년(순조3년), 범어사 금강암과 함께 취규대사에 의해  중창이 이루었졌음을 알수 있다고 한다.

               

                근대에 들어오면서 1910년, 범어사 주지로 주석한 승려 오성월이 범어사  대성암에 '각해선림'이라는

                편액을  내건 '선원'을 처음 개설하여 현재 까지 명맥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고 하는데

                안거철에는  비구니 50여명이 참선수행을 통한 정진생활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 몇 안되는 비구니 스님들의 상주처로서 직접 재배하는 차가 일품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