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통도사 서운암의 봄날 풍경

nami2 2019. 4. 13. 00:20

            양산통도사 산내암자 취운암을 들렸다가 '어디로 갈것인가' 암자 가는 쪽으로 발길 닿는대로 걷다보니

            흐드러지게 핀 꽃이 바람에 날려서 분위기를 잡는, 벚꽃길을 따라서 그냥 걸어보았다.

            통도사 벚꽃나무 아래에서 따끈한 커피와 비스켓을 먹었더니 어디까지라도 갈 것 같은 힘이 생겼다.

            생각 같아서는 통도사 산내암자를 모두 순례하고 싶었지만....

                    이곳에서 갈 수 있는 암자는 13곳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허락하는 암자순례는  3곳 정도로 만족해야 했다.

              예전 부터 바람 부는 날을 좋아했다.

              세차게 부는 강풍도 좋고, 살랑살랑 부는 미풍도 좋았지만

              시들어가는 꽃잎을 떨굴 만큼의 바람도 좋았다.

              하얀 눈이 내리는 것 같은, 봄날의 꽃잎 떨어지는 풍경을 혼자서 만끽해보았다.

                 서운암 이정표 저쪽의 화사한 벚꽃나무가  '이쪽으로 오라고...'손짓을 했다.

                 참으로 오랫만에 서운암으로  발길을 돌렸다.

                  서운암에서 가장 멋스럽게  시선집중 할 수  있는 풍경이다.

                  아직은 자랑할 만큼의 예쁜꽃들은 피지 않았지만

                  불두화와 작약이 예쁘게 피는, 5월풍경이 멋진 서운암이다.

                      부처님이 계신 '삼천불전' 옆으로 장독대가 참으로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수사해당화(서부해당화)가 피기시작하는, 서운암 풍경이다.

                          장독대 옆으로 여러그루의 수사해당화가 분위기를 잡고 있었다.  

                               하얀 제비꽃

                           흔하게 볼 수 없는  제비꽃을 서운암에서는 제법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제비꽃

                                                자화부추

 

                           처음 보는 꽃이 너무 예뻐서 조화인줄 알았다.

                           자하부추의 원산지는 페루,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등이며

                           백합과 구근식물로  잎에서 부추향이 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자화부추, 향기별꽃, 꽃부추 등으로 불린다고 한다.

                                         종지나물(미국제비꽃)

                           종지나물꽃은 귀화식물(북아메리카 원산)이다.

                           원래는 남부지방에서 나물로 먹기위해 심은 것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가서

                           야생에서 자라게 되었다고 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수선화가 피어 있는....뒷배경이 너무 멋졌다.

                    하얗게, 흐드러지게, 은은한 향기가 있는 '조팝나무'꽃이 눈이 부시게 아름다웠다.

                서운암에 황매화는 아직이지만, 하얗게 핀 조팝나무꽃은 절정이었다.

                조팝꽃이 사라지면, 황매화가 바톤 텃치를 할 것이고

                그다음은 작약꽃과 하얀 이팝나무꽃이 줄을 선다.

                4월 중순쯤에 열리는 시화전과 함께, 서운암의 봄날 풍경은 점점 더 분위기가 무르익어 갈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