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범어사 산내암자 '금강암'

nami2 2018. 12. 3. 00:08

           부산 금정산에 위치한  범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고

           범어사에서 금정산성 북문으로 가려면, 범어사 산내암자 대성암이 나오며, 대성암을 지나쳐서

           300m정도  계곡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등산로 입구에 금강암이라는  돌간판이 보이는데

           그곳, 작은 암자 '금강암'은  유서깊은 천년고찰 범어사 산내암자이다.

                  금정산성 북문을 거쳐서 금정산 정상 '고당봉'을 올라가려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금강암 입구이다.

                  범어사에서 이곳 까지 올라가는 것이, 꽤나 힘겨운 것은  바위로 된 돌계단 때문이다.

                  일반적인 산행보다 바위로 된 돌계단을 걷는 것이  정말 짜증스럽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이곳쯤에  일주문이 있을법한 , 금강암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금강암의 특징은  편액과 주련이 모두 한글로 적혀 있다는 것이다.

                     한문으로 된 편액을 보다가  한글로 된 것을 보니까, 뭔가 1% 어색한 느낌이다.

                                                         대자비전

                        산 중턱 까지는  완전한 회색빛 겨울풍경인데, 산 중턱 아래쯤은  아직 늦가을 풍경이다.

                 .

                               나한전과 약사전의 위치가  눈여겨볼만 했다.

                                                     약사전 입구

                   .

                   .

                             이곳은 출입금지 구역이다

                             스님들의 수행공간인듯....

                             출입금지 구역 담너머로 빨간 애기동백꽃이 눈에 띄였다.

                   보라색깔의 좀작살나무 열매가  한옥과 너무 잘 어울리는 풍경이다.

                  예전에 다녔던 청도 대비사의 삽살개 '금강이와 반야' 두녀석을  만난듯, 무척 반가웠다.

                  물론  금강이와 반야는  아니지만, 우리집 아저씨가 엄청 예뻐했던 대비사의 삽살개 같아서

                  한참동안  두녀석 앞에서  발길이 멈춰섰다. 

                   대비사의 금강이 처럼, 이녀석도 순한녀석이었다.

                   사진을 찍으면서  이렇게 저렇게 포즈를 주문 했더니  말을 잘 들어줬다.

                  금강암은  조선후기 이전에 이미 존재했었는지는 확인 할 길이 없고

                  기록에 의하면, 조선 순조3년(1803년)에 범어사 대성암과 함께 최규대사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한다.

                  1899년에 승려 오성월이 범어사 금강암에 처음으로 선원을 개설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서

                  당시 금강암이 선풍(禪風)을 일으키는 시발점이엇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금강암에서  바라본  계명봉  밑의 계명암이  희미하게 보였다.

                산중턱 밑에 까지 내려온  단풍이 지금쯤이면, 산아래 까지 밀려서 내려왔을 것 같은  12월이다.

                집 주변은 이제서 단풍이 들고, 거리의 은행잎도 노랗게 물들어가기 시작 했다.

                내일은 하루종일 비소식이 있다.

                아마도 비가 그치면, 급속도로 겨울행 계절열차를 타야할 것 같은 예감이다.

                12월에 물이 드는 도심의 단풍은  제대로 구경도 못하고, 길위로 떨어지는  무수한 낙엽만  보게되는....

                동해남부 해안가의 늦가을은 이렇게해서 재미없게 막이 내릴 것 같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도사 소나무 숲길을 걸어가면서....  (0) 2018.12.09
범어사의 마지막 단풍  (0) 2018.12.03
범어사 '내원암'의 늦가을  (0) 2018.11.28
금정산 계명암  (0) 2018.11.27
늦가을날의 범어사 풍경  (0) 201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