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금정산 계명암

nami2 2018. 11. 27. 23:40

            초가을에  무척 가고 싶었던 범어사 산내암자 '계명암'에 이제서 다녀왔다.

            산길을  혼자 간다는 것도 두려웠고, 산길에서 동면하기 전의 징그러운 거시기를 만날까봐도  그랬는데....

            겨울 초입의 산길은  그런것들을  만날 일도 없었으며, 휴일이라서  암자로 가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기에

            정말 편안한 마음으로  잘다녀왔다.

 

            범어사  산내암자 계명암(鷄鳴庵)은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이 부근에서 절터를  물색하던 증에

            한밤중에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자리에 암자를 세우고 '계명암'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계명암으로 가는 길은  초입 부터 가파른 산길을 올라가야 하지만, 가는 길이 예뻐서  걸을만 했다.

                     가파른 길이기에 미끄러움을 방지 하기위해 ,계단을 만들어 놓은 것 같은 산길이다.

                                                덜꿩나무 열매

                   나뭇잎 조차 없는 산길에서 만난 빨간 열매는,꽃보다 더 아름답고  귀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계명암에서  바라본  금정산  '고당봉'

                                          계명암에서 바라본  금정산 '원효봉'

                                 계명암 일주문 주변은  완전한 초겨울 풍경이다.

                                 암자 밑의 범어사는 단풍이 예쁜데.... 

                                관세음보살 석상

                   .

                                         약사전

                   .

                           계명봉을 올라가려고 했으나 인적이 드문 산길이라서 중간쯤 올라가다가 즉시 하산했다.

                           산불 감시 초소에서 길안내를 잘해줬지만, 혼자 가는 산길이라서  등산 보다는  하산쪽을 선택했다.

                            계명암 주변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었던  야생화는 '산국'뿐이었다.

                계명암이 자리하고 있는 곳은  금정산 계명봉이다.

                범어사 대웅전 앞에서 멋스럽게 바라보이는  산이 계명봉인데

                계명봉은  일본에서 바라보면 장군의 투구처럼 보이고, 대마도에서 바라보면 닭의 형상이며

                계명봉에서 대마도를 바라보면, 지네의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일본은 절대로 이 나라를 범할 수 없는 형국이라고 했지만, 침략후  암탉바위를 없애버렸다고 한다. 

                  계명봉에서 바라본 범어사 산내암자  윗쪽은  '금강암'이고, 아래쪽은 '대성암'이다.

                  계명암 부근은  낙엽이 모두 떨어진 초겨울 풍경인데

                  금강암과 대성암 주변은  단풍 풍경이 굉장했다.

                                       계명암 보덕굴 앞

 

              1903년, 한국 근대 선풍의 선구자인 경허선사가 범어사 계명암에서 '범어사 계명암 창설 선사기'를

              썼다는 내용이 남아 있는데,

              이로서 계명암은  이 시기에 선풍을 진작시키는데 역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경허선사께서 이곳에 계실때는  40여명의 대중이 살았으며, 한용운 스님도 이곳에서 '일출'이라는 시를 썼다고 한다.

                                          외인출입금지 팻말이...........

                   계명암의 창건 기록과 중창, 중건에 관한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조선후기 조성된 보덕굴의 보살좌상과 조왕도와 계명암 편액 등의 유물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이 끝난후 중건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다고 했다.

                      .

                   계명암 일주문  주변에서 나무 사이로 바라보이는 곳은, 범어사 경내이다.

                   계명봉 밑에 위치한  계명암에서  내려다보이는, 회색빛  범어사가  한폭의 수묵화 처럼 보여졌다.

                      계명암에서 거의 절반쯤 내려왔을 때  단풍이 보이기 시작했다.

                      암자로 가는 길은 올라갈때도 좋았고, 내려갈 때도 역시 걸을만한 길이라서 좋았다.

                      낙엽이 쌓인 길을 혼자 걸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 휴일날의 계명암 가는 길이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어사 산내암자 '금강암'  (0) 2018.12.03
범어사 '내원암'의 늦가을  (0) 2018.11.28
늦가을날의 범어사 풍경  (0) 2018.11.26
암자 주변의 늦가을 풍경  (0) 2018.11.23
고창 도솔산 선운사  (0) 2018.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