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가지산 석남사 숲길을 걸으면서...

nami2 2018. 6. 25. 23:39

               울산시 상북면 덕현리에 위치한  가지산 석남사는  신라 헌덕왕16년( 824년)

               우리나라 최초로 선(禪)을 도입한 도의국사가 호국기도도량으로 창건한 고찰이다.

               가지산 석남사 일주문에서 사찰 까지 이어지는  1km 정도, 울창한 숲과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이 있으며

               계곡 끝자락에 석남사가 자리잡고 있다.

                석남사 숲길을 걸으면서 잠시 내리던 비가 소강 상태였기에 우산도 쓰지 않고 숲길을 걸을 수 있었다.

                                             노각나무꽃

 

                   석남사 일주문을 들어서면서  눈에 띠기 시작했던  노각나무꽃이다.

                   은은하고 수수함이 엿보이는  노각나무꽃은  석남사 숲길을 걸어가면서 계속 만났다.

                   목련 같기도 하고, 함박꽃도 닮았고, 하얀 동백꽃 같기도 하고....

                   꽃향기도 은은하고 그윽해서 꽃이 피어 있는 동안에는 , 꽃향기가  석남사 숲길을  걸으면서도

                   자꾸만 향기를  찾아서  기웃거리게 했다.

                  노각나무꽃이 피는 시기는   온갖 봄꽃들이 피고지고 할때는  느긋하게  기다리고 있다가

                  다른꽃들이 대부분 없어진다음,  무더위가 시작되는  초여름이 시작되면

                  작은 주먹만한 하얀꽃이  잎 사이를 헤집고  하나씩 꽃이 피기 시작한다고 했다.

                 노각나무꽃은  한국에만 있는 특산 수종인데, 여름에는  녹음과 함께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다고 하는데

                 노각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세계적으로 7종의 노각나무 종류가 분포하는데

                 우리나라 품종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한다.

                 노각나무는  동백꽃 형태의 하얀 꽃이 거의 한달동안  지속적으로 피고, 수피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고 했다.

                       노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은  북한의 평안남도  양덕 온천지역, 소백산 희방사 부근

                       그리고 남쪽으로는  지리산, 가야산, 가지산으로 이어지고, 남해에서 자란다고 한다.

                       세계적으로는  일곱종의 노각나무 무리가  있고, 이중에서 일본 노각나무는  우리 것과 비슷하여

                       정원수로 심는다고 한다.

                                                           산딸기

                              .

                                   숲길에  가을 꽃이 피기 시작했다.

                                                       엉겅퀴

                                                             영지버섯

                               .

                              누군가의 간절한 소망이 이루워지길 빌어주고 싶을 만큼, 정성껏 쌓은  돌탑이다.

                                           석남사 계곡

                       이곳부터는 출입금지 구역이다.

                       석남사 스님들의 수행공간인 것 같다.

               시원스런 계곡에서 흐르는 물소리는  여름한 철 이곳에 지내고 싶다는 생각을 할 만큼 시원하게 들려왔다.

                                       석남사 입구

                   석남사 후원쪽은  출입금지구역이다.

                   이쪽에 주차를 했었기에 이곳을  구경할 수 있었다. 

                                      느티나무외줄면충이라는 것은  무수하게 많은 벌레혹이다.

                                      끔찍하게 징그러웠지만.....

 

                      무시태생(無翅胎生) 암컷 성충은  소형으로 암녹색을 띠며, 백색밀랍으로 덮여있다.

                      머리는 작고 가슴과 배는 불룩하며, 등질은 막질로 가는 털이 있으며, 더듬이는  4마디이다.

                      무시태생 성충은 타원형으로 머리와 가슴이 흑색, 배는 암색, 등면의 털은 가늘며,더듬이는 6마디이다.

                      수피 등에서 알은  월동을 하는데, 월동한 알은 4월 중순에 부화하며, 약충은 새로운 잎 뒤면에 기생한다.

                      기생된 잎은  약충이 흡즙 자극에 의해 오목하게 들어가며 잎 표면에는  표주박 모양의 벌레혹이 형성된다.

                      벌레혹은 비대해지기시작하여 약 20일 후에는  암컷 성충이 벌레 혹속에서 약충을 낳기 시작하며

                      5월하순~6월상순에 유시태생 암컷 성충이 출현하여 중간 기주인 대나무류에 이주한다.

                     

                      느티나무 잎에 표주박 모양의 녹색 벌레혹을 형성하여 수액을 흡즙 가해한다.

                      유시태생(有翅胎生) 암컷 성충이 벌레혹으로 부터 탈출하면, 벌레혹은 갈변하여

                      경화된채로 잎 위에 남는다.

                      대발생하면 전체 잎에 벌레혹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관을  헤친다.

                      석남사  계곡 주변에서 가을도 아닌데 열매가 다닥다닥 붙어서  무슨나무인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진을 찍었는데,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열매가 아니라 벌레알이라고 한다.

                      벌레알이라고 생각하니까, 눈을 감아버리고 싶을 만큼  징그럽고 혐오스러웠지만

                      신기하기도해서 사진으로나마  모든이들에게  이 상황을 전하고 싶어졌다.

                      소름이 끼칠만큼 징그러움은  두번 다시 사진도 보기 싫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