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도봉산 망월사

nami2 2018. 6. 3. 00:58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413번지, 도봉산 8부 능선(해발 500m)의 망월사는  포대능선 정상 아래

            자리잡고 있는 유서깊은 고찰이다.

            신라 선덕여왕8년(639년) 해호선사에 의해, 신라 왕실의 융성과 삼국통일을 기원기위해 창건되었다고 하는데

            당시 해호선사가 머물렀던 동대의 옛 산성 이름이 망월성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산성 이름을 따서

            망월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도봉산 망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 말사이다.

                                                   도봉산 망월사 영산전

                                                              해탈문

                                                          망월사 무위당

                                                            낙가보전

 

                    낙가보전은  정면5칸 측면4칸의 다포계 중층 팔작지붕으로 원래 낙가암이라는 암자가 있던 자리에

                    다시 지은 건물이라고 한다.

                    낙가보전은  적광전과 함께 망월사의 본전으로, 낙가(洛迦)는  중국의 보타 낙가산에서 따온 이름이며

                    관세음보살이 상주하고 계신 곳이니 관음전이라고 해도 무방하다고 한다.

                                            선원으로 들어가는 '여여문' 앞에는  출입금지 팻말이 있었다.

                   .                 

                                                                        천중선원

 

               근대의 유명한 선사들이셨던  만공스님, 한암, 성월스님 등의 선지식들이 수행하시던 곳으로 잘 알려졌다. 

                                                    무위당 밑에서  낙가보전으로 올라가는 길

 

                           망월사의 모든 전각들은  암벽에 의지하듯  서있다.

                           전각과 전각 사이의 계단은 엉금엉금 기어야 할 만큼  가파르다.

                           어떻게 이런 곳에 절집이 지어졌는가, 계단을 오를때마다  숨을 헐떡이게 된다.

 

                                                                           범종각

                                                                쪽동백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쪽동백나무'는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때죽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잎지는 넓은잎 작은 큰키나무이며, 꽃은  동백꽃 처럼 통째로  떨어진다고 하며

                          쪽동백꽃의 꽃말은 겸손이라고 한다.

                                쪽동백은  높은 산에서만 볼 수 있는 꽃인것 같다.

                                속리산 복천암 주변에서 봤는데, 오래간만에  도봉산 망월사에서 볼 수 있었다.

                         낙가보전에서 영산전으로 가는 길은  천중선원을 지나서 가면 빠른 길이지만

                         천중선원이 출입금지라서  '통천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통천문을  지나서 가파른 돌계단을 올라가야 하는데, 암벽과 암벽을 이어주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도봉산 성인봉, 만장봉, 자운봉, 포대능선을  병풍처럼 늘어선  아늑한 곳에 자리한  영산전은

                 낙가보전 쪽에서 바라봐야 멋스럽다는 것은  영산전 가까이 가서 알 수 있었다.

                 정면으로도 사진을 찍을 수 없는  절벽 위에 전각이었다.

                                      영산전 뜰 앞에서 , 절벽 앞에 핀 '마가목'꽃을 겨우 찍었다.            

                                         영산전에서 내려다 본  낙가보전

                          영산전 앞, 절벽 밑의 소나무 숲에 우뚝 서있는 '전나무'는 꽤 오래된 나무라고 했다.

                                         영산전 앞에서 바라본  수락산

 

             수락산은  서울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높이 638m의 산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