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팔공산 중암암, 바위틈새로 걷는 길

nami2 2017. 7. 9. 00:15

             돌구멍 절이라고 부른다는  팔공산 중암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산내암자이다.

             대웅전과 관음전, 그리고 요사채가 있는  아주 작은 암자 중암암은 

             은해사 산내암자  5곳 암자( 기기암, 백흥암,운부암, 중암암, 묘봉암)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

             암자 뒷편에 낙락장송 만년송이 있는 곳 까지만 다녀오고 싶어서 중암암  돌구멍을 빠져나와서

             삼인암, 만년송, 극락굴,삼층석탑 이라고 써있는  안내판을 따라 가파른 산으로 올라갔다.  

                                                  중암암 삼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2호)

                                              바위와 바위 틈새로 걷는  극락굴

 

                    사람 하나 겨우 들어갈 정도의 입구로 들어가  2~3m쯤 안으로 들어서면,  굴이라고 하기에는 그렇고

                    바위틈새라고 해야 말이되는 이곳이 극락굴이다.

                             신라시대 원효스님이 화엄경론을 집필할때 풀리지 않는 의문이 있어 이굴에서

                             화엄경 약찬계를 외우다가 화강삼매에 들어 불빛을 발산하였는데, 그 힘으로 바위가 갈라지고

                             그 소리에 의문이 풀려 화엄론을 완성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한 조선 말기 영파스님에 관한 이야기도 전해지는  유서깊은  굴인데....

                             거대한 바위가 갈라져서 생긴 틈새를 비집고 들어가 세바퀴를 돌면 소원성취 한다고 하지만

                             비좁은 틈새를 빠져 나가는 것도  그리 쉬운 것은 아닌 것 같았다.

                                                            극락굴 입구

                                     만년송이 있는 산길을 가는 것도  꽤 재미 있었다.

                                          첫번째 통과하는 문

                                          고개를 숙이고  바위 밑으로 빠져나갔더니....

                                 두번째  통과하는 문 

                                 바위와 바위틈새로 빠져나가야 하는데, 복부비만인 사람은  도중하차 해야할 정도....

                                 가방이나  배낭을 메고는 절대로 빠져나갈 수 없는 곳이다.         

                                                               낙락장송'만년송'

                                  바위와 바위 사이에 깊숙히 뿌리를 내린   만년송

                                            만년송 앞의  바위틈새 길

                              만년송을 구경하고,산을 내려가기 위해서  바위틈새를 빠져나가는 사람들

                                      가방이나 배낭은 반드시 머리 위로 올리고  바위틈새를 지나가야 한다.            

                    .

                              삼인암 앞은 절벽이라서  대충 사진을 찍었다.

                              중암암 법당  바로 뒤 봉우리에 바위 3개가 나란히 놓여 있는 것이 삼인암(三印巖)이다.

 

                             삼인암은  엣날 어느 처녀가 자식이 귀한 집에 시집을 갔으나 아이를 낳지 못했다.

                             효험이 있는  약과 정성을 아끼지 않았으나 대를 잇지 못하고 있는데, 하루는 어느 스님이

                             사정을 듣고 정성을 드리라고 하면서 현재의 삼인암 장소를 알려주었다.

                             이곳에서 정성을 드린 부인은  삼형제를  낳았다고 한다.

                             또는  이곳에서는  아들 삼형제, 혹은 친구 세사람이 뜻하는 바가 있어서 함께 정진하여

                             기도를 드리면 모두  뜻하는 바가 이루워진다는  전설이 있다.

                   

                             이곳 삼인암은  중암암 법당 바로 뒷부분이므로 경건함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했다.

                               산을 내려가는 길은 모두 바위와 바위 틈새로 걸어가야 한다는 것이 꽤 재미 있었다.

                                                             .

                                    바위밖에 없는 산길에서 만난 '기린초 그리고  나비'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상주 북장사  (0) 2017.07.19
여름꽃이 예쁘게 핀 통도사에서  (0) 2017.07.18
팔공산 중암암  (0) 2017.07.07
운부암에서의 점심공양  (0) 2017.07.05
팔공산 운부암  (0) 2017.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