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운부암에서의 점심공양

nami2 2017. 7. 5. 01:02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산내암자인  '운부암'에  갑자기 가보고 싶어졌다.

              운부암으로 가는 길에 잠시 백흥암에도 가보고 싶어졌지만

              엄격한 비구니 수행도량인  백흥암은 칠월 백중과 사월 초파일에만 찾아갈 수 있는 곳이니까

              우선은 운부암으로 갔다가 다른 암자를 가기로 했다.

 

              운부암은 신라 성덕왕11년( 서기711년)에 의상대사께서 창건한 고찰로서 연꽃모양을 하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연화지라고 일컬어지는  명당 중의 명당이며, 옛적에는 팔공산 주인은 이곳에서 난다고 하였을 정도로

              지기가 출중한 곳으로  통했다고 한다. 

                                                                     운부암  원통전 앞

                                                               우단동자꽃

                                                           산수국

                                                                  삼성각                            

                                     공양간 돌담 앞 텃밭의  상추가 가뭄을 잘 극복한 모습이다.

                            고라니 때문에  텃밭 주변에  울타리 망을  친 것 같아서  웃음이 나왔다.

                            고라니 녀석이 운부암 텃밭 채소도  그냥 놔두지 않는가보다.

                  운부암에 도착했을때는  법회중이었다.

                  휴일에는 웬만하면  법회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은해사도 그렇고  운부암에서의 법회는...

                  윤달에 올리는 예수재(살아 생전에 미리 올리는 49재) 기도가 휴일에 날짜가 맞춰졌는 것 같았다.

                  운부암에  몇번씩 오고 가면서 발뒤꿈치도  살살  들고 다닐만큼,  쉿~ 묵언이라는 글귀가 익숙해졌는데

                  법회중이라는 것이 정말 믿기지 않았지만, 법회에 참석을 했다.

                  그리고 생각치도 않았던  운부암에서의 점심공양이 영광스럽기 까지 했다.

                                 법회에 참석한  신도들이 많아서  공양간 밖의 나무 밑에서 공양을 했다.

                                 운부암을 드나든지 10여년만에 처음으로  먹어본 비빔밥은  정말 맛있었지만

                                 특히 맛있었던 것은  지난 겨울에 담아 두었던 묵은지가 맛있어서 한접시를  깨끗히 비우고 왔다.  

                               오랫만에 찾아갔더니  운부암  석탑 앞의  누렁이가 보이지 않았다.

                               스님들이 선방에서 수행정진 하실때, 늘 누렁이가 절집을 지켰는데

                               아마도 누렁이도  나이가 들어서  부처님 곁으로 떠난 것 같은 느낌.....

                               석탑 앞이 웬지 쓸쓸해보였다.

                                                             운부암 보화루

                                 보화루 창문에서 바라본 바깥풍경이  한폭의 수채화 같다.

                                                 운부암 선방 '운부란야'

                  운부란야는  경허,청담, 성철큰스님을 비롯한 많은  고승들이  수행정진한 곳으로

                  산스크리트어'아란야'의 준말로 다툼없이 고요한 곳이라는 뜻으로 수행하기 적합한  선방을 뜻한다고 했다.

 

                  운부암은  창건이래 근세 한국의 조사스님들의 근본 수행처로 전해지고 있으며

                  당시의 중심선원을 선산 도리사와 팔공산 운부암을 꼽았다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중암암, 바위틈새로 걷는 길  (0) 2017.07.09
팔공산 중암암  (0) 2017.07.07
팔공산 운부암  (0) 2017.07.02
경북 영천 은해사  (0) 2017.06.29
경북 청도 운문사  (0) 201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