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여름꽃이 예쁘게 핀 통도사에서

nami2 2017. 7. 18. 00:03

              하루동안 세곳의 사찰을 순례하기 위해,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이 양산 통도사였다.

              언제부 터인가  삼사순례를 하게 되면, 항상 첫번째로 가는 곳이  통도사가 되었다.

              통도사를 가장 먼저 찾는 이유는 

              삼보사찰중 불보사찰이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가사를 금강계단에 봉안하기  있기 때문에

              내 마음이  늘 통도사로 향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절집에서는 윤달을 맞이하면, 삼사순례 행사를 한다.

              정확한 이유는 잘모르겠지만, 윤달이 드는 달의 하루는  언제나 그랬듯이 내나름대로 정한 삼사순례를 해본다.  

                                                     통도사 삼성반월교

 

                       다른 곳에는 비가 너무 많이 내린다는데, 이곳은 아직도 가뭄중이다.

                       삼성반월교 다리 밑의  개울가에 그 많던 물이  어디로 모두 가버렸는지? 

                       오전 8시쯤인데, 통도사 일주문을  통과하는 불자들이 제법 많이 보인다.

                       법회가 있는듯 했다.

                       윤달을 맞이하여  예수재 법회가 휴일에 있는지, 휴일에 찾아 가는 곳마다 법회중이었다.

 

                       예수재(豫修齋)는

                       49재나 수륙재가  죽은 자의 명복을 빌고, 그 고혼이 극락왕생 할 수 있도록 하는 불교의식인데 반하여

                       예수재는  생전에 살아 있는 동안에 진 빚, 즉 업을 죽기전에 미리 잘 닦아서 청정한 몸과 마음으로

                       죽음을 대비하고자 하는  수행의식으로 자신의 업장을 씻고, 선업을 쌓기를 발원하는 것이라고 한다.

                       사찰에서는 윤달에  예수재를  올리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예수재는  한마디로 요약하면, 자신의 내세를 위해 생전에 미리 올리는 천도재라고 할 수 있다.

                     통도사에서는  윤달에  영산전에서  스님들의 가사를 짓는 것으로 알고 있다.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진  금강계단을 향한 발걸음들...

                           .

                                                    삼성각 앞 구룡지에 수련이  활짝 피었다.                 

                                             .

                                            .

                                         .

                                   .

                          구룡지는 구룡신지라고도 불리는 통도사 창건설화를 담고 있는  작은 연못이다. 

                        목조건물인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45년(인조23년) 우운스님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는데

                        정면인 남쪽에는 금강계단(金剛戒壇), 동쪽은  대웅전(大雄殿), 서쪽은 대방광전(大方廣殿),

                        북쪽은 적멸보궁(寂滅寶宮이라는 각각 다른 편액이 걸려있다.

                        이 건물은  국보 제290호이다.

                                                         비로전 앞의 수국

                     .

                                                   비로전 돌담 옆의 능소화

                                                      관음전 앞 석등

                                          금강계단을 향한 발걸음들이  더욱 많아진,오전 8시쯤의 통도사 풍경이다.

                                               약사전 옆의 능소화

                          약사전 앞의 작은 연못에도 수련이 피기 시작했다.

                          그렇게 오랫동안 다녔으면서  올해 처음 구룡지와 약사전  앞 연못에 수련이 핀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구미 도리사  (0) 2017.07.21
경북 상주 북장사  (0) 2017.07.19
팔공산 중암암, 바위틈새로 걷는 길  (0) 2017.07.09
팔공산 중암암  (0) 2017.07.07
운부암에서의 점심공양  (0)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