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경북 청도 운문사

nami2 2017. 6. 8. 00:57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에 위치한 운문사는 신라 진흥왕 21년(560년)에

             한 신승(神僧)이  금수동에 들어와 작은 암자를 짓고, 3년동안 수도하여 큰 깨달은을 얻은후

             절을 짓기 시작하여  동쪽에 가슬갑사 , 남쪽에 천문갑사, 서쪽에 대비갑사(현재: 대비사), 북쪽에  소보갑사

             중앙에 대작갑사(현재: 운문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진평왕 30년(608년)에 원광국사가 1차 중창하였으며, 만년에 대작갑사와 가슬갑사에 머물면서

             점찰법회를 열고, 화랑 추항과 귀산에게 세속오계를  전수하였고

             930년에는 보양국사가 대대적으로 2차중창하였으며, 973년에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의 통일을 도운

             보양국사에게 보은의 뜻으로 운문선사라는  사액을 내리고, 전지(田地) 500결을 하사하였다.

             이때 대작갑사라는 절집 이름을  '운문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3차 중창은  고려 숙종10년(1105년) 원응국사가  송나라에서 천태교관을 배운 뒤 귀국하여 운문사에 들어와

             중창하고 전국 제2의 선찰을 삼았다.

             1277년 일연선사는  고려 충렬왕에 의해 운문사 주지로 추대되어 1281년 까지 머무르면서

             삼국유사의 집필을 착수 하였다고 한다.

             운문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말사이다.

                                                         운문사 범종각

                            호거산 운문사 라는 현판이 붙은 곳이 운문사 경내로 들어가는 문이다.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이 없는......

                   호거산 자락에 위치한 , 비구니 승가대학이 있는 운문사는

                   원광국사~ 보양국사~ 원응국사  등에 의한 제8차 중창과  비구니 대학장인 명성스님의

                   제9차 중창불사에 의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담장 한켠에서 만난, 부도탑일것이라고 생각 된다.

                                                    쳐진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180호)

                                               오백전 앞의 삼층석탑 (보물 제678호)

                        오백전의 '오백나한님들' 앞에 놓인 오백 그릇의 쌀그릇이.....

                                              동, 서 삼층석탑(보물 제678호)

 

               오백전 앞의 삼층석탑과 함께  동, 서 삼층석탑인데, 통일신라시대의  석탑형식이라고 한다.

                                                   운문사 대웅보전(보물 제835호)

 

                      정면3칸  측면3칸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조선 후기의 건물이라고 한다.

                             운문사 만세루 앞에는  또하나의 대웅보전이 있다.

                             운문사 경내에 들어섰을때, 이곳에서  사시예불중이었다. 

                                불이문 입구 나무에 연꽃이 피였다.

                                운문사  불이문은  출입금지 구역이다.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공간이라고 한다.

                      대웅보전에서 사시예불을 마친 스님들이 불이문으로 들어가고 있었다. 

                    운문사 승가대학은  운문사 경내에 있는 비구니 전문교육기관으로 1958년 불교정화운동 이후

                    설립되었다고 한다.

                    승가대학은 갓 출가한 승려들이 승려로서의 자격과 소양을 갖추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관음전 앞에 다소곳이 놓인 하얀 고무신

                        운문사는  260여명의  학인스님들이 4년간 경학을 공부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비구니 교육기관이 자리한 사찰이라고 한다.

 

                        솔바람 소리에 섞인 솔향기를  맡으며, 오래된 소나무 숲길을 걸어서 경내로 들어가는 길은

                        언제 찾아가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그런 곳이 천년고찰  운문사이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운부암  (0) 2017.07.02
경북 영천 은해사  (0) 2017.06.29
창원 우곡사  (0) 2017.06.01
산청 대성산 정취암  (0) 2017.05.25
청주 안심사 아름다운 풍경  (0) 2017.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