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만추의 범어사 풍경

nami2 2016. 11. 22. 00:27

                경북지방으로 단풍을 보러갔더니 단풍은 커녕 떨어져 뒹구는 낙엽조차도 볼 수 없었던 것이 아쉬워서

                날씨가 가장 맑은 날을 택해서  금정산 범어사에 단풍을 보러 갔다.

                꽃이 개화되는 것이나, 단풍이 곱게 물드는 것의 날짜를 맞추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었기에

                무작정 찾아간 범어사의 단풍은  참으로 대박이라고 생각했다.

                단풍 절정......

                고찰에서의  단풍놀이는 혼자서라도 충분히 만끽을 하고 돌아왔다.    

                                  불이 붙은 것 같은 범어사의 단풍에 평일인데도 많은 사람들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수능 하루 전 날이라서 그런 것인지, 단풍 때문인지....  

                             범어사를 찾아가기 시작한지 25년만에 처음으로 범어사 예쁜 단풍을 보게 되었다.

                             아마도 11월 둘째주에 찾아간 것이 처음인 것 같았다.

                                                      범어사 계곡 주변에서

                                 노란 단풍이  은행나무는 아니고,팽나무가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

                      .

                              범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

                        .

                                         요사채의 늦가을 풍경

                .

                                                           범어사 대웅전 앞에서 바라본 계명봉

                                            불이문 옆에 수문장 처럼 서있는 소나무가 멋스럽다.

                                                                              보제루

                                                                범어사 대웅전(보물 제434호)

 

                            대웅전은  조선중기의 목조건물로 앞면 3칸 옆면3칸으로 이루어진 건물로

                            1717년(숙종43년)에 중창했다고 한다. 

 

                            수능을 보는 자식을 가진 어머니들의 간절한 기도 소리가 절 마당 까지 들렸다.

                     부산 금정구 청룡동546번지

                     범어사는 신라 문무왕(678년)때 의상대사가 해동의 화엄십찰 중의 하나로 창건 하였다.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의 3대 사찰로 불린다.

                                     최근에 새롭게 단장된 범어사 '산령각'

                         범어사 경내 마당에 있는 삼층석탑( 보물 제 250호)은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이라고 한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동래현 북쪽20리에 있는 금정산 산마루에는  금빛을 띤 우물이 항상

                         가득차 있으며 가뭄에는 마르지 않는다고 했다.

                         그 속에 금빛나는 물고기가 오색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온 금빛고기와 황금우물....

                         그래서 산 이름을 따서 '금정산 범어사'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범어사 '금강암' 가는 길  (0) 2016.11.24
범어사 암자 주변 풍경  (0) 2016.11.23
안동 아기산 봉황사  (0) 2016.11.17
안동 용담사 부속암자 '금정암'  (0) 2016.11.14
안동 용담사  (0) 2016.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