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안동 아기산 봉황사

nami2 2016. 11. 17. 00:41

                경북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563번지, 아기산(鵝岐山)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봉황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 말사이다.

                봉황사 사적비에 의하면, 신라 선덕여왕13년(664년)에 봉황사로 창건되었는데, 임진왜란(1592년)에

                모두 불에타서 전소된 것을  숙종때(1624년) 중창이 되면서 황산사로 불리게 되었다.

                봉황사라는  절이름이 왜 황산사로 바뀌게 된 이유는 알수없다고 한다는데....

                황산사라고 알고 있던 봉황사는  1980년 사찰 옆 개울가에서 발견된 사적비를 통해,

                본래 이름이 봉황사였음이 밝혀져서, 본래 이름을 되찾은지 얼마되지 않았다고 한다.

         

                                                      아직은 공사중인  봉황사 입구

                                                       대웅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대웅전은 정면5칸 측면3칸 규모로 임진왜란 이후, 1624년에 중창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둥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로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이다.

                          대웅전 창호는 정자(井字) 살창으로 짜서 어칸은 3분합, 협칸은 각 2분합의 문을 달고

                          옆문에 1분합의 문을 달아 출입을 하고 있다.

                                                                  극락전

                                                            고려시대의 석불

                                  대웅전 뜰 앞의 축대가 아주 오래된 사찰임을 말해주는 것 같다.

                                      안동 봉황사 목조 석가여래좌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88호)

                                      안동 봉황사 삼세불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8호)

 

                         불단위에 모셔진 불상들은  가운데 현세의  석가모니불, 과거의 약사불, 미래의 아미타불

                           대웅전 천정은 중앙부를 우물천장으로 하였고, 주위를 돌아가면서 빗천장으로 꾸몄는데

                           내부에는  단청이 매우 섬세한 기법으로 채색되어 장엄을 한층 북돋아 주고 있다.

                                빗천장에는 봉황,학, 신선 등이 구름을 배경으로 하늘을 날고 있다.

                                                     우물천장에는 연화문이 채색되어 있다.

                                                                      요사채

 

                          봉황사 사적비의 내용에  비중을 두고보면

                          번성기 때에는  대웅전,극락전, 관음전, 승당, 선당, 청풍당, 만월대, 범종각, 만세루 등의

                          여러 전각과  부속암자로는 낙석암, 정수암이 있었다고 하는데

                          임진왜란때 모든 전각이 전소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대웅전과 요사 1채만 중창되어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사적비의 발견으로

                          가람의 옛모습을 확인하고  중창불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고즈넉함이라는 단어가 너무 잘 어울리는  봉황사

                    .

                          봉황사 전설에 의하면

                          대웅전을 중창한 후 봉황이 아무도 보지 않는 시간에 단청을 했는데

                          건물의 정면과 좌 우 측면을 끝내고  건물 뒤 단청을 할때, 단청하는 것을 사람들이 쳐다보자

                          끝내지 못하고 봉황이 날아가버렸다고 한다.

                          그 이후에는  다시는 나타나지 않아서  결국 오늘날 까지  대웅전 뒷면에는 단청을 하지 못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연유로 절 이름도 봉황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어사 암자 주변 풍경  (0) 2016.11.23
만추의 범어사 풍경  (0) 2016.11.22
안동 용담사 부속암자 '금정암'  (0) 2016.11.14
안동 용담사  (0) 2016.11.12
기장 해광사 용왕단 주변  (0) 2016.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