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구례 운조루에서

nami2 2016. 8. 9. 00:56

              아무래도  고택여행은 폭염이 이어지는 여름보다는 , 붉은 감이 익어가는 가을풍경이 제격이지만

              여동생 가족과 함께 지리산 자락의 전남 구례와 경남 하동을 돌아다녀보는 여름 휴가여행이라는 이유 때문에

              지난 가을에 다녀왔지만, 또다시 '운조루'에 들리게 되었다.

              진짜 운조루에 들리게 된 것은 여동생이 운조루에 가보고 싶다는 이유 하나뿐이었다.

              그래서 사돈네집 벌초하듯이라는 말처럼  대충 대충 사진을 찍게 되었다. 

                                        이곳은 집을 건립할 때 인공적으로 꾸며놓은 '연못'이라고 한다. 

 

                                        폭염이 전해주는 뙤약볕의 '고택답사'는  그냥 고통이었다.

                                        운조루 솟을대문 앞의 연지에 수련이 피었지만..... 

                           지난 늦가을이나  여름이나 이곳의 풍경은 붉은 단풍과 푸르름의 차이였지만

                           바라볼 수록 멋진 풍경이다.

                                           운조루 (중요민속문화재 제8호) 솟을대문입구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103번지

                        1776년(영조52년) 삼수부사와 낙안군수를 지낸 유이주가 건립한 집이라고 한다.

                        이 집 터는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금환낙지'라고 하여 예로 부터 명당자리로 불렸왔다.

                                              운조루의 큰사랑채

                                                큰사랑채 방에 옛부터 전해내려오는 물건들

                              붉게 익어가던 감나무가 있던 자리에   여름꽃인 참나리 꽃이 곱게 피었다. 

                                                     ㄷ자형태의 안채풍경

                                                         뜰 앞의 작은 구멍은  운조루의 굴뚝이라고 한다.

                                                         마루 끝에 만들어진  이것은 발씻는 곳이라고.... 

                                                               부엌 아궁이

                                                                          찬장

                                              .

                                                     운조루 안채 풍경

                          운조루(雲鳥樓)는 일종의  택호에 해당 되는데, 원래는 큰사랑채 이름이라고 하는데

                          구름속에 새처럼 숨어사는 집이라는 뜻이라고 하며

                          운조루라는 이름은 도연명의 시 '귀거래사'라는  칠언율시에서 머리글자만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돌배나무

                                                                    사당

                      집을 지은 12년 후에  집주인 '유이주'가 작성한 '장자구처기'에 따르면

                      최초 운조루는 78칸집이었다고 하는데

                      화재와 세월로 인한 유실, 필요에 의한 복구와 중축등의 과정이 있었다.

                      2007년 문화재청의 실측조사에 의하면, 현재 63칸이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운조루의 구조양식은 기둥과 기둥 위에 건너 얹어 그 위에 서까래를 놓은  민도리집 구조이고

                      지붕은 사랑채, 안채가 이어져 있으며  팔작지붕이다.

                                                    운조루의 큰사랑채  누마루

                       .

                                                                 유홍초

 

                   운조루의 큰사랑채 대청위의 상량문에 따르면

                   영조 52년(1776년)에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 후기의 귀족주택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는, 몇 안되는 건축물이라고 한다.

                   ㅡ자형 행랑채, ㅜ자형 사랑채, ㄷ자형 안채가 그대로 보존 되어 있고

                   사당과 연못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