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구례 쌍산재에서의 고택체험

nami2 2016. 8. 4. 00:47

            지난해 늦가을에 쌍산재를 다녀왔었다.

            쌍산재를 다녀온후 ,언젠가는 꼭 고택에서 하루저녁 숙박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여름 휴가철이 되어서 여동생네 가족과 함께 지리산으로 떠났다가, 쌍산재에서 하루 저녁을 숙박하게 되었다.

            곳곳에 멋진 팬션들이 유혹을 했지만, 옛날 어린시절에 시간이 날때마다 시골 외갓집 다니던 생각에....

            고택에서  풀벌레소리 들으며 하룻밤을 보낸다는 것도 멋진 추억거리가 될 것 같았다.    

               

                           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632번지,

                           상사마을 입구에 있는 쌍산재의 대문은 작아보였지만.....

                           대문 안으로 들어가면, 대나무 숲길로 부터 이어지는 넓은 정원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안채                         

                             우리가 머물렀던 '건너채'이다.

                             예전에 쌍산재에서는 건너채를 별당이라고 해서 고모님과 누님등...

                             주로 여자들이 머물렀던 공간이라고 하는데,

                             툇마루 사이에 큰방과 작은방이 있었으며, 하루저녁 숙박하기에는 불편함이 없었다. 

                                              어릴때 보았던 모기장이 있었지만

                                              에어컨 덕분에 문을 꼭닫고 잠을 잤기 때문에, 모기장 체험은 하지 않았다.

                                 주방 앞의 전기밥솥과 냉장고, 그리고 커피폿트가 반가웠다.

                                 불을 때서 밥을 한다던가, 물을 끓여야 한다는 괜한 걱정때문에  웃었지만

                                 이곳 쌍산재에서는 화재의 위험때문에 취사는 불가능 했다.

                                 식사는  가까운 구례의 음식점에서 해결을 했고, 아침에는 빵을 먹기위해  커피를 끓였다.  

                                                      싱크대 앞의 주방용품들

                                                         사랑채

 

                            휴가철이라서 각 방 마다 사람들이 숙박을 하기위해 찾아들었다.

                                  주인이 머물고 있는 관리동에서 대나무 숲길로 올라가는 길

                                        대나무 숲길을 따라 올라가면 넓은 정원 뒷쪽에 '가정문'이 있고

                                        가정문을 들어가면, '서당채'가 나온다.

                                        이곳도 역시 숙박을 하기 위해 찾아온 손님들이 있었다.      

                                                                 후원 뒷쪽의 '경암당'

 

                                        오후 7시쯤 이곳에도 숙박하려고 찾아온 손님이 있었다.

                                        모두들 여름 휴가를 이용해서 고택에서의 숙박들을 .....

                                                          안채 마당가의 '더덕꽃' 

                                     .

                                                                     들판에서 만난 '원추리'

                              쌍산재 후원 끝자락에 '영벽문'라는 작은 문이 있었다.

                              그 문을 열고 나가면, 멋진 저수지가  눈앞에 펼쳐졌다.

                                     해가 서산마루에 걸린 늦은 오후에 저수지 뚝을 걸었다.

                                     달려드는 모기를 피해 산책을 나선  여동생내외....

                     지난해 늦가을에는 동백꽃과 차나무의 하얀꽃이 피어 있었던 대나무 숲길을

                     저녁 늦게 걸어보았다. 

                     전깃불이 훤하게 밝혀졌지만. 시골은 역시 모기소굴이다.

                                             쌍산재 입구에 있는 '당몰샘'

 

                             천년된 마을에 이슬처럼 맑고 달콤한, 신령스런 샘이라고 한다

                             이곳 샘물을 먹는 사람은 80세 이상 장수 한다는 말이 전해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쌍산재라는 고택의 이름은 집주인의 고조부님 호(쌍산)를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하는데

                             서당으로 사용했다는 건물  현판에 '쌍산재'라는 글씨가 쓰여 있다.

 

'고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운조루에서  (0) 2016.08.09
정원이 아름다운 구례'곡전재'  (0) 2016.08.08
구미 북애고택  (0) 2016.08.01
구미 쌍암고택의 사랑채 풍경  (0) 2016.07.29
구미 쌍암고택에서  (0) 2016.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