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오랫만에 찾아간 청도 대비사

nami2 2016. 7. 21. 00:41

              한때는 자주 찾아 다니던 천년고찰이었다.

              부산에서 자동차로  가지산 운문령을 넘어서 산길을 지나고, 운문댐을 지나고 그리고 또,들길을 지나고

              저수지길을 돌고 돌아서  산길이 끝나는 곳에 위치한 '대비사'를 마지막 간 것이 5년전이었다.

              오래도록 다니면서  친분을 쌓았던, 주지스님이셨던 비구니 스님도 절을 떠났고,

              절을 지키던 삽살개 한쌍도 사라진 뒤 였기에

              자연스레 발길을 끊었다가  청도를 지나는 길이 있어서  오랫만에 대비사에 들렸었다.

              7년동안 숱하게 다닐때에는 '대비사'에 가면, 비구니 스님께서 야생화를 좋아하셔서

              절 마당 부터 절집 주변으로는  온통 야생화 천국이었는데,오랫만에 찾아간 대비사는 너무 많이 변해 있었으며

              아무리 주변을 돌아다녀 보아도 야생화라고는 단 한포기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비구니 스님께서 밭농사를 지으시던 텃밭은 간곳 없고, '용소루'라는 누각이 들어 서있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하지만, 비구니 스님이 떠나신지 5년 남짓인데.....

                   온갖 채소들이 가득차 있었던 텃밭은 사라지고, 덩그마니  누각이 서있음이 심란스러웠다.

                         대웅전 앞뜰에서 부터 마당가에는 온갖 야생화들이  대비사를  멋스럽게 했건만

                         축대와 어설픈 돌계단이  낯설기만 했다.

                         그냥 아름다운 대비사로 기억할것을...... 

                         쑥대밭이 되어버린 대비사에 괜히 찾아갔음을 후회했다.

                          비구니 주지스님과 차를 마시던  종무소겸 요사채 앞도 역시  엉망진창으로 파헤쳐졌다.

                          요사채 앞에서 바라본 억산 자락은 여전히 아름다웠지만......

                            5년전에는 요사채 앞에도 이맘때 능소화가 흐드러지게 피었고

                           요사채 옆과 요사채 주변에도 온갖 여름 야생화들이 감탄을 할 만큼 꽃이 피어 있었는데...

                           대웅전 뜰 앞에서 멍하니 바라보았을 뿐이었다.

                      대비사 삼성각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지금쯤 흐드러지게 피어 있을 도라지꽃도  흔적없이 사라지고, 석류꽃이 핀 석류나무도 없어졌다.

                      삼성각으로 올라가고 싶은 마음도 사라져서  대웅전 뜰앞에서 삼성각을 향해 합장을 했을뿐....

                      지금의 대비사 스님은 꽃하고는 인연이 먼~ 분인 것 같아서 마음이 씁쓸했다.                      

                                                       대비사 대웅전(보물 제834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전형적인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이지만......

                        대웅전 앞도  폐허가 된 것 처럼, 꽃밭은 모두 사라졌다.

                                  대웅전 천정에 연등이 가득차서 게으름을 피면 연등을 달아놓을 자리가 없었던 5년전에 비해

                                  절반 정도 밖에 안된 연등의 숫자가  5년전과 5년후가 비교가 되었다.

                                  부산 신도들의 발길이 모두 끊겼음을 알 수 있었다.

                               5년전과 5년 후의 변화된 것이 있다면, 부처님 전에 모셔진 '부처님 진신사리함'이다.

                                        공양간 앞의 요사채도  어떤모습으로 변할지?

                             그래도 스님들이 계시던 요사채 앞의 감나무는  여전히 건강했다. 

                   경북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794번지

                   대비사는  신라 진흥왕 18년(557년) 어느 신승(神僧)이 호거산에 들어와 수행하던 중

                   진흥왕 21년(560년)에 절을 지었으며, 진평왕22년(600년)에 원광법사가 중창했다고 한다.

 

                   그 후 전각 불단에서 묵서가 발견 되었는데, 조선 숙종11년(1685년)에 중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고  했다.

                                                      비에 젖은 자귀나무꽃

                                           .

                             천년고찰 대비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말사이다.

                              이곳이 대비사로 들어가는 입구가 되었다.

                              사천왕이 모셔진 곳이니까  천왕문이 된것이다.

                              5년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풍경이다.

                                    

                              예전의 고즈넉하고 멋스런 풍경들은 모두 사라진후, 낯선 풍경들만이 오히려

                              인연의 끈을 미련없이 놓아버릴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대비사라는.....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는  예전에 찍어둔  블러그의 사진 속에서나 찾아봐야 할 것 같았다.

                              변해도 너무 많이 변한  절집 풍경에 왜그렇게 마음이 아팠던지?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하동 국사암  (0) 2016.08.03
경북 구미 보천사   (0) 2016.07.26
군위 제2 석굴암 (삼존석굴)  (0) 2016.07.10
경북 군위 신흥사  (0) 2016.07.07
북한산 노적사  (0) 20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