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어촌의 봄이 오는 풍경

nami2 2016. 2. 22. 00:24

              봄비가 내린 후....

              하늘은 맑고 푸르고, 날씨는 화창하고, 매화는 하루가 다르게 달콤한 향기를 만들어내는

              동해남부 바닷가 마을에는  요즘 온통 미역냄새이다.

              고구마를 심었던 밭도, 고추를 심었던 넓은 밭도, 모두가 미역을 말리는 건조장이 되었다.

              매화 향기와  짭쪼름한 미역냄새가 어울어지는  어촌의 냄새는  무어라고 말을 해야할지....

              그래도 이 모든 것이 봄이 오고 있음을  알리려는 봄의 전령사의 메세지인것을 어찌하겠는가?

              그러려니 하고 , 가까이 찾아오고  있는 봄을 마중하는 것이 좋을듯 싶다. 

                      부산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월전리, 연화리는 미역을 건조시키는 풍경이 제법 눈에 띤다.

                      들판에서 풍겨오는 냄새는 맛이 있는 것인지, 맛이 지겨운 것인지

                      미역국 냄새가 당분간 싫어질 것 같은 냄새이다.

                                           하루 정도 말린 미역

                                       금방 바다에서 건져온 싱싱한 미역을.....

                            밥과 초장만 있으면  간단한 식사가 될 만큼 쫄깃한 '기장미역'이다. 

                                     덕장에 길게  말리는 방법과  가즈런하게 모양을 만들어서 말리는 방법

                                     두가지를 볼 수 있다. 

                                 이렇게 말리는 미역 한가닥의 분량은  네번 정도 미역국을 끓일 수 있는 분량이다.

                                 미역이 몸에 좋다는 것은  세상이 다 아는 일이다.

                              밑반찬과  튀김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미역귀'

                        .

                  미역의 효능

                  미역에는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철분, 칼슘, 인, 카로틴, 식물성 섬유 등이 균형있게 들어 있어

                  바다의 채소라고 부르고 있다.

                  미역에 들어 있는 칼슘은 뼈와 이를 튼튼하게 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미역에 많이 들어 있는 요오드는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데

                  갑상선 호르몬은  심장과 혈관의 활동을 돕고, 체온과땀을 조절하여 신진대사를 증진 시킨다.

                 

                  미역을 미끌거리는  성분은 수용성 식물성 섬유로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 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변비를 해소 하고,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미끈 거리는 성분 속에는  '알긴산'이 들어 있어서  암세포의 증식을 약하게 할 수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라서 체내흡수시 영양분과 수분을 빨아드려서  혈당을 억제 시키는

                  효능 때문에 당뇨에 좋다고 하며

                  그리고 대장암 예방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고 싶은 길 '용소 웰빙공원'  (0) 2016.03.10
해안 산책로를 따라서 걷는 즐거움  (0) 2016.03.08
2월에 마시는 고로쇠수액  (0) 2016.02.17
거제에서  (0) 2016.02.03
겨울바다의 갈매기들  (0) 20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