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봄을 기다리는 나물

nami2 2012. 2. 14. 23:37

                                  봄비 같은 비가 이틀째 내리고 있다.

                                  봄 소식이 있을 것 처럼~ 차겁다는 느낌보다는 훈풍이 불어오는 비 바람은 

                                  머지않아서 꽃소식을 가지고 올 것만 같은 반가운 비였다.

                                  비 내리는날 재래 시장에 나갔다가 봄나물이 눈에 띄기에 사가지고 돌아왔다.

                                  비가 내리는 날에는 전을 부쳐 먹어야 하는데, 봄나물로 날궂이를 하기로 했다.

                                        제법 먹음직스런 봄나물의 상징인 '냉이'가 입맛없는 식욕에 유혹을 했다.

                                        무엇을 해먹을 것인가는 다듬으면서 생각하기로 했다.

 

                                   겨우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 했던 냉이는 이 겨울에는 보약이 따로 없을 것 같다.

                                   냉이는  가을에 씨가 날려 자라다가 겨울이 왔어도 추위속에서 잘자라는, 내한성이

                                   강한 식물이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냉이를 소화제나 지사제로 이용할 만큼 위나 장에 좋고 간의 해독 작용을

                                   돕는다고 한다.

                                   또 냉이 뿌리는 눈 건강에 좋고, 고혈압 환자에게 냉이를 달여먹도록 처방하기도 한다. 

                                   냉이는 겨울동안 마른잎을 뒤집어 쓰고 흙속에서 자라고 있었으므로

                                   떡잎과 뿌리에  지저분하게 달라붙은 것들을 떼어내려면, 잔손질에 시간이 많이 간다.

                                   굵어진 뿌리도 반으로 갈라서 다듬는다.

                                    냉이의 뿌리는 겨울 동안 얼어 죽지않고 추위를 견뎌내는 버팀목이다.

                                        흙속에서 캐왔기 때문에 잠시 물에 담가 놓았다가  삶으면 된다.

                                     끓는 물에 푹 삶아내면 뿌리의 영양분이 손실 되니까 뿌리를 만져서 적당하게

                                      익었으면 냉이를 찬물에서 헹군다.

                                            노지(露地)에서 겨울을 보내며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던 봄동은

                                     그 자체가 향긋하고, 데쳐도 달큰하고, 고소한 맛이 좋으므로 입맛 없는 요즘에는

                                     나물,겉절이,쌈으로 먹을 수 있는 봄채소이다.

                                           쌈과 나물과 겉절이 할 것을 분류하며 다듬으니까 버릴 것이 하나도 없다. 

                                               봄동으로 나물을 하려고 끓는 물에 데치고 있다.

                                            봄동과 냉이를 끓는 물에 데쳐서 나물을 하려고  준비해 놓았으며

                                     일부는 냉이 된장국을 끓여 먹으려고 남겨 두었다.

                                               봄동을 나물로 무칠때 양념은

                                       맑은 멸치액젓,다진마늘, 깨소금,고추가루, 참기름

                                               *봄동 데친 것에 맑은 멸치액젓을 넣고,마늘 다진것과 고추가루를 넣고

                                         조물 조물 무치다가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고 마무리 한뒤  접시에 담는다.

                                                                                                     봄동나물

                                     즉석김치나 겉절이 쌈으로 즐겨 먹는 봄동은 배추보다 다소 두껍지만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난다.

                                                냉이를 나물로 무칠때 양념은 

                                       들기름,국간장(조선간장),깨소금, 마늘 다진것,다진파,참기름

                                                                                                '냉이나물'  

 

                                  냉이를 나물로 무칠때는 개인적으로 각각 다르게 무치는것을 보았다.

                                  새콤달콤 초장에 무치는 사람도 있고, 된장에 무쳐내는 사람도 있는데

                                  우리집에서는 냉이를 무칠때 냉이의 향을 즐길수 있기에 국간장으로 무친다.

                                      

                                 *데친 냉이를 들기름과 국간장으로 먼저  조물 조물 무치다가 다진 마늘과 다진파를 넣고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마무리 하듯 다시 무치면 된다.                               

                                                                                         봄동 쌈과 수육

 

                     봄동은 찬 성질을 지니고 있어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좋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위장의 활성화를

                     돕기 때문에 변비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비타민C도 풍부하여 봄철의 나른함을 돕고, 봄철 입맛을 돋구어 주는 맛이 좋은 봄채소라고 한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나물 겉절이와 돼지수육  (0) 2012.02.26
김치 비지전  (0) 2012.02.17
과메기 무침  (0) 2012.02.11
북어포의 별미  (0) 2012.02.01
자연산 해물 돌홍합 조림  (0) 201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