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서운암에 핀 들꽃

nami2 2018. 5. 26. 00:18

               지금은 대체적으로 꽃이 없는 시기이다.

               하얗게 피는 꽃들도 모두 사라지고, 색깔이 있는 꽃들도 하나둘 사라지기 시작했다.

               여름꽃들이 피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고, 겨우 인동초꽃이 보이기 시작 했으며, 접시꽃은 아직이고

               노란 금계국도  꽃망울에서 한 두송이 꽃을 보이기 시작하는데

               그래도 서운암에서는 이렇게 저렇게 늦봄에 남겨진 꽃들도 볼 수 있었고, 요즘꽃도  볼 수 있다는 것이

               다행스럽다고 여겨졌다.

                                                             금낭화

                  .

                서운암에서 금낭화는 4월 중순쯤에 절정으로 피는 꽃인데, 아직도 몇포기 남아 있어서

                다행스럽게도 꽃을 볼 수 있었다.

               

                새해가 되면 여인들의 한복에 세뱃돈을 받아 넣던 빨간 복주머니 같다고 하여 '금낭화'

                또는 며느리 주머니 라고 부르고, 꽃주머니 속에 황금빛 꽃가루가 들어있어 '비단꽃주머니'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붓꽃

             붓꽃을 난초라고도 부른다고 하는데, 붓꽃, 꽃창포, 아이리스꽃들이 헷갈리는 것은 사실이다.

             어쩌면 붓꽃과의  모든 꽃을  아이리스라고 부를수도 있다는데

             구태여 구분을 해본다면, 아이리스는  붓꽃과 꽃창포에 비해 꽃이 크고, 색깔과 꽃모양이 다양하여

             꼭 외국에서  들여온 원예품종이라는 것이 눈에 잘띈다.

                               .

                                                             개연

                         마침 풀베기 작업을 한 후, 꽃 사진을 찍어서  보기가 좀 그랬다.                       

                                                      노랑꽃창포

                    꽃창포는 주로 남부지방에 많이 자생한다고  했으나  요즘에는 전국에 모두 피어 있다고 하는데

                    물가나 습지에 많이 자라고, 키가 60~120cm 정도로 큰편이다.

                    붓꽃과 꽃창포가 구분이 안될만큼 같은데, 노랑꽃은 모두  노랑꽃창포로 보면 맞다는 말이 있다. 

                                                       작약

                            아마도 지금쯤이면  작약꽃이 거의 사라지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서운암에서 작약꽃이 만발한 것을  처음 보게 되었다.

                      꽃피는 시기를 잘 맞춰 가는 것도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백작약

                    .

                                                                      골담초

                        4월에 한참 피었을 '골담초'꽃이 남아 있어줘서 반가웠다.

                        식용할 수 있는 꽃이라서 꽃한송이 따서 입속에 넣고 씹어보면, 향긋하고  달콤하고 아삭거리고....

                                                   모과나무(수령 350여년)

 

                   좀 더  시간이 지나면 날씨가 더워서 서운암 한바퀴 돌아보는 것이 고통일텐데

                   아직은  암자의 야생화단지를  한바퀴 걸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초여름이 시작되면 또 어떤 꽃으로 사람들의 발걸음을 가볍게 할 것인지

                   들꽃이 많은 서운암에 예쁘게 핀 여름꽃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