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아름다운 통도사 극락암 풍경

nami2 2018. 5. 24. 00:38

           전국의 어느 사찰, 어느 암자를 다녀도  늘 생각나는 암자가 통도사 산내암자 극락암이라는 곳이다.

           오랫동안 계절이 바뀔때마다 다니다보니, 고향집 같은 푸근함 때문일 것이라 고 생각해봤다.

           운전을 하지 못하는 내게  극락암은 이제 쉽게 갈 수없는 곳이 되었기 때문에 아쉬움이 커져가고 있다.

           영원히 함께 할  것 같았던 우리집 운전수 아저씨의 덕을 톡톡히 본듯....

           기약없는 부재중 때문에 ,극락암 가는 길이 막혀버린 지금

           초파일을 앞둔 극락암 풍경은 애틋할 만큼 가슴에 와닿는 아름다운 풍경이 되었다.

           버스를 타고 통도사 까지는 갈 수 있을 것 같지만, 극락암 까지 걷기에는 감당이 되지 않을 것 같다.

                        오색연등이 있어서 더욱 아름다운 풍경이 된 극락암 입구

                             새롭게 신축된 '영월루'는 아직 단청이 완성되지 않은 모습이다.

                                                                 극락암 영지

                                                                    불두화

                                                                  .

                                                         작약

                                             장구채

                                                     민백미꽃

                                        .

                               민백미꽃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전국 각지, 산기슭 숲 가장자리 또는  골짜기나 산마루의 반그늘에서 자란다고 하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해열, 기침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고 했다.

                                                       삼소굴 앞의 작약

                                                           금낭화

                                                              삼소굴 앞

                                                             극락암 전경

                       초파일을 앞둔 사찰풍경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아름다운 풍경은 오색연등이다.

                               극락암 독성각 가는 길이다.

                       단하각은 나반존자를 모신 독성각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오래된 감나무의 윤기 흐르는 연두빛 잎새가 정말 아름다웠다, 

                해마다, 일년동안 다섯번 정도 다녔던 극락암을

                이제는 일년동안에   한번은 갈 수 있을런지?

                아쉬움 모르고  다녔던 극락암인데, 우리집 운전수 아저씨의 부재중에 가슴은  그냥 답답해진다.

                먼길 떠난  사람의 흔적 하나 하나에 머리속은  여전히 하얀색깔이다.

               

                내  없으면 심심해서 어떻게 살래? 

                지나가는 말로 한마디 던진 우리집 아저씨의 기가막힌 말이 화살이 되어 가슴에 꽂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