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부산 기장읍 불광산 척판암

nami2 2018. 1. 9. 00:50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606-1,  불광산 자락에 위치한 천년고찰 척판암은

            신라 문무왕13년(673년)에 장안사와 함께 창건한 토굴로 창건 당시에는 담운사라고 불렀으나

            1938년 경허스님에 의해 중수된후, 장안사의 부속암자로 유지되다가 최근 독립된 사찰이 되었다고 한다.

            척판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 말사이다. 

                                                           척판암 입구

                척판암은 원효스님이 신통력으로 중국 당나라의 수많은 사부대중을 구한  일화로 유명한 암자이다.

 

                원효스님께서 척판암에 주석하실때 하루는 도력(道力)으로 관해보니 중국의 종남산 운제사에 거주하는

                사부대중 1000명이 법회 참석하고 있었는데, 곧 산이 무너져 법당을 덮쳐 큰 변을 당하게 되었음을

                직관하였다.

                사태가 다급하여 마침 다과상을 받고 있다가 그 소반을 들어 '해동원효척판구중(海東元曉擲板求衆)이라 적어서

                서쪽을 향해 공중으로 날려보냈다.

                그곳 대중들이 공중에 떠있는 현판을 신기하게 여겨 법당에서 뛰쳐나오는 순간 뒷산이 무너져 큰절이 매몰되었다.

                이 인연으로 목숨을 구한 1000명의 중국스님들이  신라 척판암으로 와서 원효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절벽 위의 척판암 앞에 쓰러질듯 우뚝 서있는 나무

                   척판암은 깊은 산속에 위치해 있어서 경내가 좁은 통로로 되어 있으며

                   척판암 건물은  정면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척판암이라는 현판이  있으며

                   법당, 승방, 공양간의 역활을 복합적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

                                                   척판암 석조여래좌상(부산시 문화재 자료 제41호)

 

                        척판암 주불전의  본존불로 봉안되어 있는데, 높이 37,5cm의 작은  규모로 제작된 불상이다.

                        신체에 비해 비교적 큰 방형의 얼굴....

                        조선시대에 조성한  아미타여래좌상과최근에 조성한  관음보살상과 지장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척판암 석조여래좌상은  조선 후기 각 지역마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여 소규모의 불전에 봉안한

                        석조 불상 가운데 하나로 보관 상태도 양호하여  부산광역시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불상이라고 한다.

                             앙상한 겨울나무 위에  새집이 세채나 지어져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척판암 경내는 좁은 통로로 되어 있어서 많은 등산객들이

                             스님 신발이 놓여 있는 모퉁이로 출입을 하게된다.

                              척판암에서 바라본 불광산 그 너머에, 산불이 났던 삼각산이 있을 것 같다.

               척판암의 약수는  이 일대에서 최고의 감로수라고 손꼽힐 만큼, 많은 사람들이 물을 받으러 가는데

               겨울이라는 것이 실감나는 것 같다.

               남쪽지방에서는 절대로 볼 수 없는 멋진 풍경이다.

                    .

                    1972년에 경운스님이 3층석탑을 세우고, 부처사리5과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척판암 경내의  좁은 통로 밑은  절벽이다.

                         자동차로 구불구불 높은 산길을 올라가면 작은 주차장에서 경내로 들어가는  데크 길이다.

                         오랫만에 갔더니 새롭게 조성된 길을 혼자 걸어보니 약간은 두려웠다.

                         데크 길 밑이 낭떨어지라는 것 때문....

                         척판암 독성, 산신각으로 가려면 경내에서 이 길을 걸어가야 한다.

                  원효대사의 신통력이 있는,  전설이 깃든 불광산 속의 작은 암자 척판암은

                  자동차로는 절대 갈 수 없었던 곳에  자동차 길이 조성되어서 출입통제가 해제 된듯...

                  작은 주차장 입구에서  척판암으로 가는  극락교가 새롭게 눈에 띄었다.

                  그래도 척판암은 자동차를 타고 올라가는 것 보다  산길을 걸어서 올라가는 것이 더 좋은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