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불광산 장안사 포대화상님의 미소

nami2 2017. 12. 18. 01:04

                정말 오랫만에 우리집 환자와 함께 장안사에 갔었다.

                병원생활 시작 했던 8월달 이후, 단 한번도 부처님을 뵙지 못했던 우리집 환자였기에

                컨디션이 좋은 날에 장안사 입구의 팥칼국수집에서 모처럼 외식을 하고  장안사에 들렸다.

                그러나  아직도 수술했던 다리가 부자연스러워서  경내에 들어가지 못한채  주차장에 머물러 있었고

                나 혼자서 부처님을 뵙고 돌아왔다.

                그래도 부처님이 계신 절집 마당 까지라도 환자가 운전을 해서  다녀왔다는 것이 중요했다. 

                        장안사에 가면, 가장 편안함으로 만날 수 있는 포대화상이다.

                        마음속 까지 정화되는 듯한 푸근한 미소가 그리워질때가 있다.

                   포대화상은  중국 당나라 명주 봉화현 사람으로 법명은 '계차'라고 하며

                   호는 장정자라고 했고, 악림사에서 출가를 했다.

                   뚱뚱한 몸집의 얼굴은  항상 웃는 모습이었으며 배는 풍선 처럼 늘어져 괴상한 모습으로

                   지팡이 끝에다가 커다란 자루를 둘러메고 다녔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포대화상이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행적이 잘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미륵보살의 화현이라고 하며

                   신앙의 대상으로 섬겼다고 한다.

                                   장안사 경내에는 많은 부처님들이 전시 되어 있었다.

                                   11월에 있었던 국화전시회때 가져다 놓은 조각품들인 것 같다.

                                                  정료대 위에 모셔진 '염화미소'

 

                         염화미소는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화두(話頭)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석가모니께서 영산회상에서 연꽃을 들어 보이자 팔만대중 중에 가섭만이 그 뜻을 알고

                         미소 지은 것이라고 하는데

                         염화미소는 중국 송나라 이후 선종에서 이심전심, 교외변전, 불립문자의 중지를  드러내는 이야기로

                         자주 인용되었다고 한다. 

                                                 대웅전 뜰앞의 작은 부처님들

                .

                 .

                               까치 소리만 요란하게 들리는 고즈넉한 겨울산사의 풍경이다.

                                                                 명부전 앞

                      .

                               감나무 밑에 있으면 몇개 떨어질 것 같은  자연 홍시가  먹음직 스럽다.

                          .

                         다리가 아파서  경내에는 들어오지 못한  우리집 환자는 주차장에서 대기중이다.

                       .

                                    바스락 거릴 정도로  바싹 마른  국화꽃이지만, 색상은 변하지 않았다.

                                    쓸쓸한 산사입구를 화사하게 만든  꽃이 생화가 아니고 바싹 마른 꽃이라면

                                    누가 믿을런지?

                                    그래도 꽃이기 때문에 예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