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

겨울산책길에서 만난 나무 열매

nami2 2018. 1. 5. 01:29

              아무것도 없는 삭막한 겨울날에 산책을 하다보면, 꽃보다 더 아름다운 열매를 가끔 만날 수 있다.

              파라칸사스 열매를 비롯해서 남천열매, 먼나무 열매, 아왜나무... 등등  많은 열매를 만날 수 있지만

              정원이나 공원 근처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열매 보다는 숲길에서 만나는 열매는 이름을 알 수가 없어서

              답답할 때가 있다.

              나무가지가 늘어질 정도로 매달린 산수유 나무열매 주변에서는 맑은 새소리가 어찌나 시끄럽게 들리던지

              그래도 이름을 알고 있는 나무 열매를 만날때는  사진이라도 찍어보지만

              아무리 알려고 해도 알 수 없는 이름을 가진 나무 열매는  예쁘기는 하지만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답답해서

              공연히 없는 시간 쪼개서 자꾸만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게된다. 

                                                         계요등 열매

                                     짜증이 날 만큼 검색을 해봐도 여전히 이름을 모르겠다.

                                     야광나무일 것이라고 생각해봤지만, 자신이 없다.

                                      봄에 꽃을 피었을때는  꽃사과꽃과 비슷한  하얀색 꽃이었고

                                      새들이 열매를 잘먹는다는 것을 알고 있을뿐, 나무 이름이 궁금하다.

                                                            광나무 열매

                        위의 사진 '광나무'와 아래 사진  '쥐똥나무'를 비교해보았다.

 

                       광나무는  늘푸른나무(상록활엽수)로  남해안 따뜻한 지방에서 가로수(남해군)나  생울타리 공원수로

                       많이 심겨졌거나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해안이나 섬지방에 자생하는 나무이고

                       열매는 노화방지, 흰머리, 신장병에 좋으며

                       여자의 성을 정숙하게 한다고 하여 '여정목'이라고 부른다.

                       광나무는 나무 중에서 소금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 하고 있어서 오래살고 죽은 뒤에도 

                       좀처럼 썩지 않는다고 한다.

                       광나무와 쥐똥나무 꽃을 비교해보면, 광나무는 하얀꽃이 다발 처럼 피며, 향기도 거의 없는듯 했고

                       쥐똥나무 꽃은 하얀꽃이 예쁘고, 주변에 퍼지는 향기가 쥐똥나무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쥐똥나무는  겨울에 낙엽이 지는 키작은 나무(낙엽활엽관목) 으로  중부지방인 서울까지

                      도로가에나 화단경계에 울타리 처럼 많이 심겨져 있다.

                      열매는 쥐똥처럼 생겼다고 해서 쥐똥나무라고 붙여졌는데, 열매의 효능은 '강장, 지혈, 허약체질

                      식은땀,토혈, 혈변,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또한 당뇨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며, 남자의 정력을 증강시킨다고 하여 '남정목'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꽃은 광나무 꽃보다  더 예쁘고  그윽한 향기가 매력적이다.

                                                                쥐똥나무 열매

                                                          남천

                   남천은  매자나무과의 상록관목으로 붉은색의 나무 열매가 촛불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남천촉이라고 하며 

                   잎이 대나무와 비슷하여 남천죽이라고도  부른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심어 기르는 상록성떨기나무이다.

                     겨울에 잎이 붉게 물드는 것이 특징이며, 열매는  겨울이 깊어질수록 더욱 붉은색을 띄며

                     이른 봄 까지 달려 있어서 겨울새들의 좋은 먹이감이 된다고 한다.

                    남천의 붉은 열매는 난디닌이라는 성분이 있다.

                    감기에 걸려서 가래가 멈추지 않을 때에는 하루에 5~10g의 남천 열매를 컵 1잔의 물에 넣어

                    반  정도 줄어들때 까지 달여서 식후 3회로 나누어 마시는데

                    마시기 어려울 경우에는 벌꿀이나 레몬즙을 넣어 마셔도 좋다고 한다.

 

                    남천의 약효는  소염,수렴,기침, 가래, 천식, 백일해, 감기 ,타박상

 

                    편도선이나 구내염, 치통, 인후통.인두염에는 말린 남천 잎 3~5g을  컵 1잔의 물과 함께 달여

                    반 정도 된 액을 식혀서 수시로  가글(목 양치질)을 하면 효과가 좋다고 한다.

 

'감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산책길의 아름다움  (0) 2018.01.21
4년만에 눈이 내리던 날  (0) 2018.01.11
2018년 새해 첫날 일출  (0) 2018.01.02
겨울 감나무의 아름다운 풍경  (0) 2017.12.29
아직도 숲길에 남아 있는 가을 흔적  (0) 201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