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이른 봄에 먹으면 좋다고 하는 들나물

nami2 2016. 4. 7. 00:24

                          또다시 비소식이 있어서  하루일과중에서 반나절을 텃밭에서 보냈다.

                          시도때도없이 내리는 비소식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가늠할 것은 아니지만

                          너무 비가 자주 내리니까 좋은 것은  겨울을 들판에서 지낸 야채들이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란다는 것이다.

                          상추를 심어 놓고 성장이 늦은 가을에는 뜯어먹기가 힘들더니, 지금은

                          봄비 덕분인지는 몰라도  눈에 띨 정도로 급성장이라서 텃밭에 나가면 무엇이든지 뜯게 된다.

                          웰빙음식, 신토불이 집반찬, 무농약, 무비료.....등등 언론에서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듣게되는

                         야채와 나물들이 텃밭 주변에 지천이다. 

                                이른봄이라서 텃밭 주변에서  눈에 보이는 것은  무조건 뜯어 왔다.

                                혹독한 겨울을 노지에서 자란것들이라서 먹으면 좋다고 하기에.....

                                                                         민들레

 

                              텃밭에서 보이는 잡초라는 것들이 눈을 크게 뜨면 모두가 보약이라고 한다. 

                              민들레는 주로 이른 봄에 어린싹을 뿌리째 캐서 나물이나 쌈으로 먹지만

                              일년내내 다양한 방법으로 먹을 수 있다.

                              뜯어도, 또 뜯어도 계속 자라는 민들레는 텃밭에서는  골치아픈 존재이지만

                              잡초로 버리기에는 아까워서  집으로 가져와 초장에 무쳐서 밥을 비벼먹는다.                      

                                                                         냉이

 

                              냉이 역시 텃밭에서는 골치아픈 존재!

                              뽑아내도, 또 뽑아내도 자꾸만 눈 앞에 알짱거리는....

                              냉이는 뿌리 까지 캐기 때문에 흙이 많이 묻어 있다.

                              싱크대에서 냉이 씻는 것도 일거리이지만, 혈압을 내리는 성분이 있어서

                              고혈압에 좋고, 감기몸살 피로푸는데 좋다고 한다.

 

                              냉이는 봄나물 중에서 단백질이 가장 많으며, 칼슘과 철분 또한 풍부하고

                              비타민A와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 있다.

                              냉이에 함유된 무기질은  끓여도 파괴되지 않는다고 한다.

                                                                    씀바귀, 뽀리뺑이, 머위

 

                               모두가 쌉쌀한 맛이 있어서 쓴것을 싫어 하는 사람은 약간 꺼려하지만

                               이른봄에 먹으면 모두가 몸에 좋다는  봄나물이다.

                              

                               씀바귀 나물은 먹어보면 쓰지만,달다라는 표현이 저절로 이해될 정도로 나올정도로

                               봄 식탁에 잘 어울리는 나물이라고 한다. 

                                                                      질경이

 

                              마구 짓밟혀도 다시 살아나는 끈질긴 풀이라는 뜻을 가진 질경이는

                              풀밭, 길가, 텃밭 주변에  잘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질경이는 민간요법으로  만성간염, 고혈압, 부종, 기침, 변비, 신장염 등의 갖가지 질병에

                              만병통치약 처럼 두루 쓰인다.

                              질경이는 봄에서 초여름 까지 꽃대가 자라기 전의 잎과 뿌리를 채취하여

                              된장국에 넣어 먹거나 나물, 소금 절임으로 이용된다.

                              생잎은 쌈으로 먹기도 하고, 데쳐서 묵나물로 저장 했다가 겨울에 먹기도 한다. 

                                                                       질경이 나물

 

                                        살짝 데쳐서 국간장에 마늘, 참기름,깨소금을 넣고 무쳐보았다.

                                                                          돌나물

 

                                비타민 C는 물론 인산과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하며, 특히 칼슘은 우유의 2배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분 함량이 수박보다 많아서 봄철 건조해진 피부의 수분 보충에도 효과적인 들풀이다.

                                                                            쑥

 

                           엷게 된장 풀어서 쑥을 넣고, 날배추 썰어 넣고 끓이다가 들깨가루 넣어서 먹으면 별미이다.

                           쑥이 제법 자라서 뜯기에도  편안하고 맛이 좋아서 저녁식사에 국을 끓여 먹었다.  

                                                                        머위꽃과  초벌부추

 

                                  머위꽃은 이른봄에 아주 잠깐 피는 꽃이라서 귀한 대접을 받는 식재료라고 한다.

                                  꽃은 튀김으로도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이른 봄에만 만날 수 있는 별미라고 한다.

                                   일년에 한번 맛을 볼 수 있는 '머위꽃전

                                   그리고 귀하다고 가격이 비싼 '초벌부추' 

                                                                            머위꽃전

                                                                      초벌부추전

 

                                겨울에 모두 얼어죽었는줄 알았는데, 이른봄에 흙을 뚫고 잘 올라오는 것이

                                별미이고, 보약이라고 한다.

                                홍합을 다져넣고 부추와 쪽파를 1;1로 넣고, 전을 붙였더니 맛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