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경북 예천 용문사

nami2 2016. 10. 25. 00:08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391번지, 소백산 자락에 위치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10년(870년)에 두운선사에 의해 창건된 고찰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를 정벌하러 내려가서 이 사찰을 찾았으나 운무가 자욱하여 지척을 분간치 못하였을 때

              어디선가 청룡 두마리가 나타나 길을 인도하였다 하여  '용문사'라고 불렸다고 한다.

              용문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 말사이다.

                                                                   용문사 일주문

                                  가로수 처럼 길게 늘어선 '천사 나팔꽃'이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사천왕을 모신  천왕문을  이곳 용문사에서는 '회전문'이라고 했다. 

                                                                  해운루

 

                                 용문사에는 누각이 두곳이 있다.

                                 보광명전 앞의 '해운루'와 대장전 앞의 '자운루'가 있다.

                                

                                 대장전 앞의 자운루는 경북 문화재 자료 제169호이다.

                                 자운루는  임진왜란 때 승병들의 회담장으로 사용한 곳이며, 승속들이 승병을 돕기위해

                                 짚신을 만드는 신방의 기능을 수행한 호국 공간이다.

                               용문사 주불전인 '보광명전'에는 비로자나불을 중심불로 모셨고, 좌 우 협시불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이 모셔져 있다.

                                                        실천하는 나눔의 보시함

                                                                용문사  대장전 (보물 제145호)

 

                     대장전은  고려 명종3년에 팔만대장경의 일부를 간직하기 위하여 지었다고 한다.

                     조선 현종6년(1665년)에 다시 지어졌다고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17세기에 다시 지어진 건물로 추측 된다.

                     장대석으로 바르게 쌓은 석축 기단위에 정면3칸, 측면2칸의 구조이며, 기둥위에 공포는 다포로 장식하고

                     지붕은 맞배로 하였다.

                     내부는 마루를 깔았고, 중앙 뒷면에 불단을 마련해 좌 우 협시를 거느린 작은 여래상을 안치하였고

                     후불 벽에는 목각탱을 달았는데, 지금 까지 알려진 목각후불탱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불단 앞쪽 좌 우에는 고려명종3년(1173년)에 설치되고, 조선 인조 3년(1625년)에 중수된

                     회전식 윤장대가 1개씩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이곳뿐이라고 한다.

                                             화려한 꽃살무늬의  회전식 윤장대 좌측 (보물 제 684호)

 

                               윤장대라고 하는 것은  팔각형으로 된 책장 밑에는 바퀴를 달고 중앙에는 기둥을 세워

                               궤를 돌리면 찾고 싶은 책을 쉽게 찾아 볼수 있도록 만든 책궤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윤장대를 돌리면 번뇌가 소멸되고 공덕이 쌓여

                              소원이 성취된다고 하여 예로부터 참배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단아한 빗살무늬의 회전식 윤장대  우측 (보물 제684호)

 

                        용문사 윤장대는  용문사 대장전 내 불단을 중심으로 좌, 우에 각 1좌씩 설치되어 있는데

                        공예품으로는  국내사찰 가운데 유일하게 소장된 회전식 장경각이라고 한다.

                        고려 명종 3년에 제작되었고, 원래 경전을 넣어두는 책장으로 만들었다.

 

                        윤장대를  정성을 다해 한번 돌리면 한권의 경전을 읽는 것과 같다는데, 지금은  일년에

                        두번만 돌릴 수 있다고 하는데

                        윤장대 돌리는 날은  음력 3월3일과 음력 9월9일이라고 한다.

                                                                    진영당

 

                                  1681년에 지어진 후 큰 변화없이 오늘날 까지 잘 유지되고 있다는 '진영당'은

                                  용문사에 주석했던 선사들의 진영을 봉안하는 곳이라고 하며

                                  진영당은 정면 6칸, 측면은 4칸의 건물로 툇마루를 두고 있는 홑처마 납도리집이라고 한다. 

                                               소백산 자락에 멋스럽게 자리를 하고 있는 용문사 전경

                                                                        참취

                         일반인들의 출입을 금한다는 팻말과 함께 높은 담장이, 보이지 않는 수행승들의 위엄에

                         발길을 멈추게 했지만, 입구에는 향기 짙은 산국의 옅은 미소가 보이는듯 했다.

                                                차츰 가을이 내려앉기 시작 하는  용문사 뒷곁 숲

                                            곧, 용문사의 깊어가는 가을이 아름다움으로 승화될 것 같다. 

                                                                산신각 옆 돌담에 핀 꽃들

                                                                     개미취

                                                                   노란 산국

                           전각이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용문사이지만, 고즈넉함이 익숙한  멋진 절집이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장 해광사 용왕단 주변  (0) 2016.11.05
부산 기장 해광사 뜰앞에 핀 꽃  (0) 2016.11.04
기장 불광산 장안사  (0) 2016.10.18
함양 영각사  (0) 2016.10.15
경주 불국사에서  (0) 201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