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친척집이 합천에 있어서 일년이면 몇차례나 합천을 다녀오지만, 황매산 자락에 옛절터가
있다는 소리는 금시초문이었다.
유명한 해인사와 해인사에 부속된 암자들과 몇몇 고찰들(청량사. 연호사)을 참배하는 것이 전부 였는데....
바람결에 듣게된 옛 절터를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으로 황매산 자락으로 가보았다.
요즘은 인터넷 세상이니까, 그리 어렵지 않게 '영암사지'라는 옛 절터를 찾을 수 있었다.
영암사지 입구에 우뚝 서있는 600년된 느티나무
영암사지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황매산 남쪽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 터로
그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지지 않으나 고려때 1014년(고려 현종 5년)에 적연선사가 이곳에서
83세로 입적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절이 세워졌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영암사지(사적 제131호)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033-1
서울대학교 도서관 탁본으로 전하는 '적연국사자광탑비(102년 건립)의 비문을 통하여
고려시대에 이곳에 영암사가 있었음을 알수 있었다고 한다.
절 터에는 금당지, 서금당지, 중문지, 회랑지 등의 건물터와 3층석탑, 쌍사자 석등, 귀부, 석조기단
계단 등의 석물이 남아 있고....
1984년 발굴조사때는 통일신라시대 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각종 와편과 토기편, 금동여래입상 등이
발견 되었다고 전한다.
삼층석탑 (보물 제480호)
쌍사자 석등(보물 제353호)
높이 2,31m이며 , 시대는 통일신라시대이고 ,재료는 화강암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쌍사자 석등은 모두 5기가 있는데.....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국립 광주 박물관에 있는 광양 증흥산성 쌍사자 석등,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은 통일신라 작품으로 손꼽힌다.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은 꼬리가 아름다운 사자 2마리가 마주보면서 화사석을 받치고 있다.
영암사지의 건물터는 일반 사찰 건물과 다른 몇가지 특징이 있다고 한다.
금당이 있는 상단, 축대의 중앙 돌출부 좌우에 무지개 모양의 계단이 있는점
금당 기단 면석 위에 얼굴 모양이 조각 되었고, 뒷면을 제외한 3면에 신비스런 동물 모양을
돌을 새김한 점, 서남쪽 건물 터의 기단 좌 우에 계단이 있는 점이 특이하다.
.
.
.
영암사지의 금당 터
현존하는 유구와 유물들을 보아 경남지방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유서 깊은 대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늦어도 9세기 중엽에 창건되어 고려말 까지 존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쓸쓸한 옛 절터에 핀 외롭게 꽃이 핀 '무릇'꽃
석축에 돌이 빠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쌓아 놓은 모습이 신비스럽다.
쐐기돌(돌못)이 박힌 석축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독특한 돌이 박혔는데
경주 석굴암에 있는 쐐기돌 처럼 석축이 무너지지 않게 만든 것이 대단해 보인다.
참고로 오늘 경주 불국사에 가서 쐐기돌이 박힌 석축을 보았는데, 보물로 지정되어 있었다.
영암사지 옆에 '영암사'라는 최근에 지어진 절이 있었다.
황매산 모산재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는 '영암사지'전경
모산재는 기우재를 지내던 정상의 무지개 터에 사계절 물이 고여
신령스런 바위산이라는 뜻으로 영암산, 묘하게 생겼다고 하여 묘산이라고 부른다.
이름에 산이나 봉이 아니라 고개를 뜻하는 '재'가 붙어 특이하다.
석축 아래에서 바라보는 모산재와 영암사지의 풍경은 속이 후련할 만큼의 멋진 배경이다.
기암 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쳐진 모산재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영암사지가
지금 까지 남아 있는 천년고찰 '영암사'라면,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합천의 또하나의 고찰이었을텐데, 바라볼수록 아쉬움 뿐이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도사 극락암 삼소굴 뜰 앞의 꽃무릇 (0) | 2016.09.22 |
---|---|
양산 통도사의 초가을 풍경 (0) | 2016.09.21 |
밀양 석골사 (0) | 2016.09.02 |
경북 상주 용화사 (0) | 2016.08.23 |
아름다운 풍경이 있는 '상주 황령사. (0) | 201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