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

사라져 가는 가을날에

nami2 2014. 11. 19. 00:37

                모처럼의 산책길에 들판에 나갔더니 들판은 어느새 황량해진 겨울 풍경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며칠전만해도 아침 일찍 텃밭에 나가면, 찬이슬에 옷을 적셨는데

                쌀쌀해진 날씨 탓에 이슬은 사라지고, 하얗게 내린 서리에 채소들이 메말라가고 있었다.

                올해는 무엇을 했는지,단풍잎 한장 제대로 보지 못한채 가을이 가고 있었다.

                나빠진 건강탓을 해야할지

                건강 지키려고 몸을 움츠리다보니 덧없는 가을은 그냥 속절없이 떠나가고 있었다.

                     아직은 늦가을인데,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모든 것들이 메말라가고 있었다.

                                               .

                                      짧은 가을날을 마냥 아쉬워 하기에는 겨울의 그림자는 자꾸만 다가오고 있다. 

                                         추위속에서 더욱 강인해지는 국화는  가을의 끝자락을 화사함으로  장식해준다.

                                                   더욱 매력이 넘치는 추위속의 국화는.....

                                             정말 우아하고, 아름답다.

                                               짙게 풍겨오는 국화향기가 떠나가는 가을을 더욱 애닯게 한다. 

                                            문득 '서정주님의 국화옆'에서 라는 시가 생각난다.

                                            한 송이 국화 꽃을 피우기위해

                                            봄 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 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간밤에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보다.      

                                           .

                                  며칠전 까지만해도 푸른색이었던 강아지풀이 어느새 억새풀 처럼 은발이 되었다. 

                            세찬 바람이 불면 모두 날아가버릴 것 같은  억새풀의 하얀 머리결을 따라서

                            곧 가을도 사라져갈 것이다.

                            황량해진 빈 들판은 그렇게 긴 겨울을 마중할 것이고..... 

                                새들의 양식이 되어가는 감나무의 감들이 더욱 아름다운 풍경으로 남겨진 깊은 가을은

                                짧아서 아쉬웠다는 느낌표만 남긴채 시간속으로 사라져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