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취운암 마당가에 핀 꽃들

nami2 2019. 4. 12. 00:06

          통도사에서 산내암자 이곳저곳으로 가기위해서 오솔길을 따라 걷다보니 '취운암'이었다.

          취운암은  통도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암자였지만

          취운선원이라는 입간판 때문에 한번도 들어가보지 않은 곳인데, 지나가는 길에  할미꽃이 눈에 띄여서 들어가봤더니

          넓은 마당가에는  온통 할미꽃과 여러가지 꽃들이 발길을 멈추게 했다.

          1644년에 통도사 대웅전이 중건된후 남은 재정으로  6년 뒤에 취운암이 창건되었다고 하는데

          통도사 산내암자 중에서는  규모가 가장 큰 암자 중의 한곳이라고 하며

          조선 효종 원년(1650년)에 우운대사가  처음 창건 하였고, 이후 정조 19년에는 낙운대사가

          1969년에는 태일화상이 다시 중수하였다고 한다.

              통도사에서 개울을 건너면, 암자로 가는  오솔길이 있다.

              주변에 안양암, 수도암, 보타암, 취운암이 있는데, 암자에 계시는 스님들께서

              큰절인 통도사에 오고가는 길이라고 하는데, 계곡을 따라 오솔길을 걷는 것도 꽤 분위기 있었다.

              오솔길 끝의 '취운암' 담장 옆으로 여러가지 꽃들이 피어 있었다.

                      눈에 띄는  할미꽃 무더기 때문에  ,취운암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취운암 마당가에는  온통 할미꽃이 피어 있었다.

                           .

                                          양지꽃

                                       산괴불주머니

                                      금낭화

                                           무스카리

                                      꽃이름이  아리송.....

                                      희야신스라고 하는데, 아닌 것 같다.

                                         제비꽃

                                         개별꽃

                             .

                               개별꽃을 찾기위해서  산비탈길 주변을  보물찾기 하듯이 해서 찾아냈다.                 

                                        팥꽃나무

                      출입금지 구역이라서  사진 찍는 것도 죄송스러웠다.

                                배꽃

                 배꽃은 꽃술이 빨강, 검정, 흰색  세가지가 있었다.

                 배꽃중에서 꽃술이 빨강색이 가장 예뻤고, 검정색 꽃술도 봐줄만 했다.

                 배꽃은 통도사 가는 길에서 찍은 것이다.

                  취운암 앞에 서있는  돌간판에 '영축총림율원과 취운선원'이라는 것 때문에 늘 지나쳤는데

                  여러가지 봄꽃 덕분에 취운암 마당가를 구경할 수 있었다.

                 취운암 앞  도로를 따라서 암자가는 길을 걷다보면

                 통도사 산내암자 13개 암자가는 길의 이정표를 만나게 된다.

                 어디로 갈까.... 잠시 망설임을 하다가 

                 벚꽃잎이 바람에 날리는 예쁜 길을 따라서 한참을 걷다가 서운암으로 발길을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