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초가을, 범어사 경내에서

nami2 2018. 9. 28. 00:08

             아직도 여름꽃이 피고 있었던...

             부산 금정산 범어사 경내에서 느꼈던 스산한 바람이 가을바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계절이 좀 더 깊은 가을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범어사 산내암자와 금정산 동문과 북문을 따라 가을산행을  생각했었다.

             나의 제적사찰인 장안사가,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 말사라는 것을  알면서도 

             몇년에 한번 정도  지장전에서 지장기도가 필요로 할때만 다녀갔다는 것이 약간은  민망스러웠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같은 부산이라도  하루 해가 꼬박 지나간다는것에 늘 주춤했지만

             집 주변에 전철이 다니기 시작하면서 범어사 가는 길이 엄청 빨라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범어사 지장전에는 20여년 전 부터  주변의 지인이나 가족이 하늘로 떠났을때, 극락왕생 기도하러 다니던 곳이다. 

                                         범어사 석등(부산 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석등은  흔히 불전(佛殿) 앞마당에 등불을 안치하는 일종의 공양구(供養具)이다.

                      불교에서 등불은  중생의 어리석음을 다스리는 지혜를 상징하며, 이를  밝히는 것은 공양 중에서도

                      으뜸으로 여겼으므로 일찍부터 석등을 제작했다고 한다.

                      이 석등은 연꽃잎을 새긴  상, 하대석 위에 화사석과 옥개석을 올린 팔각당 형식으로

                      삼층석탑과 함께 비슷한 통일신라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층석탑(보물 제250호)

 

                     석탑은 불사리(佛舍利) 신앙을 바탕으로 발생한 불교 특유의 조형물로서  흔히 대웅전 앞마당의

                     자오선상에 일탑과 쌍탑으로 배치된다.

                     사리는 부처님 열반 후 다비의 과정에서 나온 구슬 모양의 유골로서 진신사리라고도 하여

                     이를 봉안한 탑도 불전 내의 존상(尊像)처럼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범어사 삼층석탑은  비교적 규모가 작고 옥개석과 받침면석, 우주 등이 간소화된 탓에

                     통일신라 말에 제작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범어사 약사전

                                                         약사전  옆의 작은 석탑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보았던 '상사화'가 곧 자연으로 돌아갈 것 같은....

                           나에게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기다렸던 것 같은  애잔한 모습이다. 

                             범어사 경내에서  침계료(율학승가대학원)로 내려가는 대나무 숲길이다.

                                         설법전과 요사채로 내려가는  돌담길

                                               5월에 꽃이 피는 불두화를 만났다.

                                                      루드베키아

                                    여름 끝자락에 꽃이 피는  옥잠화

                                              봉숭화

                                          흰나도샤프란

                                         바람이 불지 않아서  풍경소리는 들을수 없었다.

                                                    은행나무 (수령 580년)

 

                        이 은행나무는 임진왜란 후 노승 묘전스님께서 옮겨 심은 것으로  수령이 꽤 오래된 나무이다.

                        그러나 은행이 열리지 않아 3백년 전에, 절에서 맞은편에 은행 수나무 한그루를  심어줘

                        그해 부터 한 해 약 30여 가마의 은행을 따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 나무는  범어사를 찾아온  많은 사람들이 치성을 드리며 소원성취를  비는 수호목으로서

                        범어사의 역사를 알고 있는 장수목이며, 사랑과 관심으로 보호해야 할 보호수라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무릇이 예쁘게 핀 '묘관음사'  (0) 2018.10.03
범어사 산내암자 '청련암'  (0) 2018.09.28
금정산 범어사  (0) 2018.09.27
백중날에 다녀온 불광산 장안사  (0) 2018.09.06
성북동 길상사  (0) 2018.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