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2017년 양산 통도사 초파일 풍경

nami2 2017. 5. 11. 00:54

            부처님 오신날에  가장 늦게 찾아가는 사찰은  양산 통도사이다.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진 적멸보궁이 있는 사찰이라서 가장 먼저 찾아가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초파일에 통도사를 가려면 오전 5시쯤  매표소 앞에 도착 해야 한다.

            생각없이 아침 8시쯤 통도사에 가면, 도로에서 몇시간씩 기다려야 했고, 겨우 통도사 경내에 도착 했을때는 

            주차 때문에 곤혹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라서 , 몇년 전 부터는 초파일날의 참배시간을 저녁으로 바꿨다.

            또한 저녁으로 가는 이유는  극락세계 처럼 환하게 불밝혀진 아름다운 사찰의 밤을 즐기고 싶어서 였다. 

            낮에는 절대로 볼 수 없는....

            장엄등이나 연등에 불이 밝혀진 풍경은  초파일날 꼭 봐야 하는, 무아지경의 아름다운 풍경이다. 

                          어둠이 찾아드는  통도사  경내에 ,하나 둘씩 사람들이 촛불을 밝히기 시작했다.

                                               관음전 앞의연등에 불이 밝혀지고 있었다.

                                         설법전 앞의 연등이 환하게 불이 밝혀졌다.

                                         지난해 보다는  연등의 모양이 그리 다양하지는 않았다.

                                                       통도사 대웅전 앞의 연등은  정말 아름다웠다.

                                                       대웅전이 국보(제290호)였기 때문일까?

 

              통도사의 상징인 금강계단은 일주문, 천왕문, 불이문을 통과하면 만나게 된다.

              목조건물인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불턴 것을 1645년(인조23년)  우운스님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정면인 남쪽에는 금강계단, 동쪽은 대웅전, 서쪽은 대방광전, 북쪽은 적멸보궁이라는

              각각 다른 편액이 걸려있다.

 

              통도사 대웅전은 다른 사찰처럼 홀로 있는 대웅전 건물이 아니고

              대웅전(석가모니불을 모신곳)과 함께 금강계단(계율이 가장 으뜸...),

              대방광전(법신불이 상주하는 대화엄의 근본도량), 적멸보궁(부처님 진신사리가 있는 곳)

              네개의 문을 가지고 있는  동,서,남,북 현판의 글씨가 모두 틀리는 곳이다.

              네개의 문 중에서 어떤 것이 정문, 후문, 옆문, 앞문인지 구별하지 않는다고 한다.

              네개의 문이 모두 적멸보궁으로 들어가는  정문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방광전 앞의 통도사 구룡지

                                 구룡지는 통도사 사리가사 사적약록에 따르면, 통도사가 창건되기 이전

                                 현 통도사 위치에는 아홉마리 용이 사는  큰 연못이 있었는데, 자장율사가 이들을 제압하고

                                 통도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제압된 아홉마리 용들 중 한마리는  통도사를 수호하게 하고 작은 연못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 연못이 바로 지금의 구룡지라고 한다.

                                

                                 용 한마리의 장엄등을 조성하여 불을 밝힌 구룡지의 풍경이 환상적이었다.

                                                              금강계단 불사리탑의 풍경

                      통도사의 중심이 되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은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모시고 온 부처님의 정골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하는 불사리탑이다.

                      이로 인하여 통도사가 불보사찰이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고 한다.

                                                              돌아가신 분을 위한 하얀 연등

 

                                늘 가슴이 찡하게 느껴지는 하얀 연등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날이라서 그런지 하얀연등을 바라볼때는  마음 까지 울적하다.

                                                             명부전 앞

                                  겨우 날개짓을 하는 어린 제비들이 날이 어두워지자 집을 찾고 있다.

                        부처님 오신날에 부처님의 자비를 온 누리에서 모든 사람들이  느끼길 바라는 마음 뿐이다.

                         저녁시간에도 역시 자동차가 줄을 이어서 매표소로 들어가는 순번을 기다려야 했다.

                         통도사에서  20분 떨어진 곳에 차를 주차시켜놓고, 통도사 매표소 입구를 들어섰다.

                         일주문앞 까지는  이곳에서 부터 30분을 걸어야 했다.

                                                                  통도사 하마비(下馬碑)

 

                                 걷다보니 이런 것도 있었다는 것이 통도사를 다닌지 15년만에 처음 보았다.

                                 늘 자동차로 주차장 까지 들어 갔으니까 , 볼 수 없었다.

 

                                 걷기 싫어하는 양반님들, 말이나 가마에서 내려  이곳 부터 경내 까지 걸어 들어가서

                                 부처님을 뵙고 나오라는 뜻인 것 같은데, 이곳에서도 20분을 걸어야 경내에 도착이다. 

                                        아직은  어둡지 않아서인지 '물고기등'의 불 밝기가  약간 흐릿했다.

                          경내로 들어가는 계곡에 달아놓은 '산천어(물고기)등에는 아직 불은 켜지지 않았다.

                          어스름 초저녁 통도사 경내로 들어가는 길이다.

                                                          영축총림이라고 적힌 통도사 해탈문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