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대구 앞산 은적사

nami2 2016. 12. 29. 00:10

               대구시 남구 봉덕동 1572번지,  앞산 중턱에 위치한 은적사는

               신라 55대(경애왕3년)에 창건된 유서깊은 고찰로서 대구 지역의 많은 불자들의 기도처로 유명한 곳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말사이다.

                       나뭇잎이 흔적없이 사라진 겨울 숲길을 걷는 기분은  청량음료 한잔 한 것 같은 상쾌함이었다.

                                                  천년고찰 은적사 전경

                                   은적사 마당가에서 내려다 본  겨울 숲길의  멋스러움이다.

                                                           대웅전

                                                 은적사 대웅전에 모셔진 '목조석가여래좌상'

 

                 2015년 5월11일에 대구 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된  이 불상은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모니불의 양식적으로 보아 조선후기 조각승 하천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한다는데

                 이 불상은 정확한 조각가와 제작시기를 알려줄 기록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작품의 완성도는 높으며

                 18세기 후반 불상의 제작방식의 일단을 드러내고 있는 중요한 불상이라고 말 할 수 있다고 한다. 

                                                                  요사채

                                                                 삼성산

                               암자처럼 규모는 작은 절집이지만, 천년동안 이어져온  바람소리가 정겨운듯 하다.

                                          언뜻, 지나칠 수 있는  '왕건굴' 가는 길

                                                                왕건굴

 

                   후삼국시대 말, 후백제 견훤이 신라를 침공하여 국운이 위태롭게 된  신라 경애왕은

                   고려 왕건에게 지원을 요청하였다.

                   왕건은 구원병을 이끌고 달구벌(지금의 대구)에 입성하여 공산전투(927년 9월)에서 견훤에게 대패한 후

                   왕건은 명장 신숭겸의 지략으로 구사일생 피신하여 이곳, 은적사 왕건굴에서 3일간 숨어지냈다.

                   마침 3일간 짙은  안개로 굴의 자취를 찾기 힘들었고, 굴의 입구는 거미들이 줄을 쳐주어

                   안전하게 피신한 왕건은 후일 고승 영조대사에게 명하여, 이곳에 사찰을 건립하고

                   절체절명의 순간에 생명을 건진 곳이라 하여, 숨을 은(隱) 발자취 적(跡)으로 명명한 은적사는

                   많은 불자들의 영험도량으로 발길이 끊이지 않은 곳이라고 한다.

                                                         앞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은적사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어사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  (0) 2017.01.12
포항 운제산 오어사  (0) 2017.01.11
대구 대덕산 법장사  (0) 2016.12.28
전북 완주 만덕산 정수사  (0) 2016.12.22
전북 완주 송광사  (0) 201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