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경기도 고양시 한미산 '흥국사'

nami2 2016. 6. 27. 00:22

            사찰순례를 다니다보니'흥국사'라는 절이 참으로 많았다.

            흥국사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 '여수 영취산 흥국사' 였다.

            그리고 이곳 저곳에 흥국사라는 사찰이 많아서 헷갈릴까봐 '경기도 고양시 한미산 흥국사'라는 제목을 붙였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203번지, 한미산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흥국사'는

            신라 문무왕 원년(661년)에 원효대사가 북한산 원효암에서 수행하던 중 ,북서쪽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산을 내려와 이곳에 이르게 되었다.

            서기를 발하고 있는 석조약사여래 부처님을 보신 원효대사가 인연도량이라고 생각하며

            본전에 약사부처님을 모시고, '상서로운 빛이 일어난 곳이라 앞으로 많은  성인들이 배출될것이라고'하며

            절 이름을 흥성암이라고 하고, 오늘날의 흥국사를 했다고 한다.

                                                                          흥국사 일주문

 

                                  흥국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 말사이다.

                       .

                                                흥국사  대방(등록문화재 제592호)

 

                     흥국사 대방은 정토 염불 사상이 크게 성행하던 근대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염불 수행공간과 누, 부엌, 승방의 부속공간을  함께 갖추고

                     대웅전을 실제적 상징적 불단으로 삼아 염불수행을 하도록 구성된 독특한  형식의 복합법당이다.

                                                              유난히 빨간 장미꽃이 꽃밭가득이다.

                                                                       두메달맞이꽃

                           .

                                      숲속에 들어앉은, 스님들의 수행공간인 것 같다. 

                                                흥국사 약사전(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57호) 

 

                           흥국사에는 약사전이 중심건물이다.

                           조선 영조 46년(1770년)에 왕이 이곳을 친히 행차하여  이절의 약사불이 나라를 흥하게 한다고 해서

                           절 이름을 흥국사로 고치고 , 왕실의 원찰로 삼아 약사전을 보다 크게 짓게 하고

                           미타전을 신축하였으며, 궁궐의 상궁들이 번갈아 머무르면서 선학을 공부 하도록 허락 하였다.

 

                           약사전은 정면3칸, 측면2칸이며 각칸 모두  네짝의 사분합문으로 이루워졌다. 

                            

                                                                    약사전 현판

 

                                                              조선 영조임금의 친필

                                                     약사전의 약사여래불

                                    흥국사는 불교체험 '템플스테이'하는 곳이다.

                                                        나한전(향토유적 제 34호)

 

                     나한전은 1878년에 지어진 정면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기둥은 배흘림이 거의 없으며

                     머리가 평방과 창방을 돌리고 그 위에 여러개의 공포로 짜맞춘 맞배지붕 건물로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일반적인 건축양식이라고 한다.

                                                             나한전의 맞배지붕                       

                                                흥국사를 지켜주는 450년 된 노거수  느티나무

                                                             삼성각

                                         약사전 뒷 곁에 있는 250년된 '상수리나무'

                            .

                                              흥국사 약사전 뒷곁 숲에서 바라본 북한산!

                                                         염주나무

                         조선왕조 21대 임금 영조가  생모인 숙빈 최씨 묘소인 소녕원에 다녀오던 길에 하룻밤 머물면서

                         직접 지은 시를 편액으로 만들어 내렸다고 하는데

                         이후, 절 이름도 흥국사로 바꾸고, 왕실의 원찰로 삼아서 영,정조 때에 크게 번창했다고 한다.

                         약사전 편액은 영조의 친필이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군위 신흥사  (0) 2016.07.07
북한산 노적사  (0) 2016.06.30
북한산 삼천사에서  (0) 2016.06.24
진관사에서 북한산으로 가는길  (0) 2016.06.24
북한산 진관사  (0)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