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북한산 삼천사에서

nami2 2016. 6. 24. 23:46

              서울 은평구 진관동 산25-2, 북한산 삼천사 계곡에 위치한  삼천사는 

              신라 문무왕1년(661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고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 말사이다.

              1481년(조선 성종12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에 따르면

              당시에는 3000여명의 승려가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다고 하는데, 사찰이름도 이 숫자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한다고 했다.

              1592년 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으나 임란중에 소실된 것을 

              뒷날, 이 절의 암자가 있던 마애여래 길상터에 진영화상이 삼천사라 고 이름하여 다시 복원하였다고 한다.     

                                 5년전에 삼천사를 다녀온뒤 오랫만에 가보니까,절 마당에 커다란 탑이 세워져 있었다.

                                탑이 있으므로서 북한산을 배경으로 하는 삼천사 풍경이 어색한 것 같아서

                                탑을 피해서 예전의 풍경 처럼 사진을 찍었다.

                                삼천사에는 의미 있는 '세존사리탑'이라고 하지만.......

                        삼천사는 1980년대 까지만 해도 군사보호지역으로 민간인 출입통제 지역이었는데

                        북한산성과 북한산 비봉으로 통하는 등산로가 개방되면서 사찰 출입이 자유로워졌다고 한다.

                                                                    대웅보전 꽃문살

                                                삼천사 마애여래입상(보물제657호)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초기에 조성되었으며, 서울에서는 가장 오래된 마애불이라고 한다.

                            전체 높이는 3m , 불상높이는 2,6m

                            양각과 음각을 섞어 조각한 독특한 작품이라고 한다.

                                                          산령각

                           삼천사 경내 대웅전의 윗쪽으로 30m 지점 계곡의 병풍바위에 각인되어 있는 마애불

                                                               종형 사리탑

 

                      1988년 미얀마에서 부처님 사리3과를 모셔와 석종형 사리탑에 모셨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으로 들어오는 전각 입구에 적멸보궁이라는......

                                                           삼천사 천태각

 

                            다른 곳의 사찰에는 나반존자를 모신곳에는 보통 독성각이라는 현판이 붙었는데

                            이곳에는 천태각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노적사  (0) 2016.06.30
경기도 고양시 한미산 '흥국사'  (0) 2016.06.27
진관사에서 북한산으로 가는길  (0) 2016.06.24
북한산 진관사  (0) 2016.06.23
금계국이 예쁘게 핀 '수국사'  (0) 2016.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