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북한산 진관사

nami2 2016. 6. 23. 01:12

                  15 년전의 진관사는 참으로 분위기가 있었던 사찰로 기억을 했다.

                  그리고 6 년전 초파일에 다녀온 진관사도  그럭저럭 예쁜 사찰로 기억을 하고 있었고...

                  그런데 이번에 다녀온 진관사의 풍경은  다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없어지게 만들었다. 

                  북한산 자락에 고즈넉하게 자리잡은 분위기 있었던 예전의 풍경은 온데간데 없고

                  신축건물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반듯반듯한,  건물들이 낯설어 보이기 까지 했다.   

                                                              북한산 진관사 일주문

                                                             진관사 입구의  해탈문

                                                                     진각사  홍제루

                                                                        대웅전

                                  .

                                                              북한산 자락의 진각사 전경 

                서울 은평구 진관동 354번지,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진관사는

                동 불암사 , 서 진각사  , 남  삼막사 , 북  승가사와 함께  예로 부터 서울 근교의 4대 명찰로 손꼽혔다고 한다. 

                                                                          범종각

                             .

                                 댓돌 위에 하얀 고무신의 가즈런함이 예쁘다.

                      진관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 말사이다. 

                     진관사의 연혁은  고려8대 현종 원년(1010년)에 현종이 진관대사를 위해 창건하였다고 한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명령에 의해 국조선령및 수륙고혼(고려왕씨의 넋을 위로하기위해서...)

                     천도재를 하기 위해서 수륙사를 설치하고 춘추에 제향을  하였다고 하며

 

                     세종 때는 집현전 학사들을 위한 독서당을  진관사에 세우고,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하위지, 이개 등

                     이와같은 선비들을 독서하게 했다고 한다.

 

                     6,25 동란 때는 공비소탕의 일환으로 사찰을 잿더미로 만들어서 폐허가 되었는데

                     1964년 비구니 최진관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30여년간 복원불사를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고 한다. 

                                                                          나한전

 

                              1950년 6,25 전쟁 때는  나한전 등 건물 3동을 남기고 모두 불에타서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칠성각

                 2009년 칠성각을 해체 보수하는 과정에서 태극기와 독립운동 자료들이 발견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 항일 승려였던  백초월스님의 항일운동을  대변해주는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고 한다.

                                                                독성각

                          .

                             예전의 진관사 찻집은 꽤나 분위기스러워서 일부러 차를 마시러 간적도 몇번 있었는데

                             지금은 그때의 분위기가 아니다. 

                 북한지에 의하면 신라 진덕왕때 원효가 삼천사와 함께 창건하여 신혈사라고 했다고 한다.

                 그 뒤 고려 현종이 중창하고 진관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고려 경종이 죽자 젊은 왕비는 왕태후가 되어 파계승 김치양과 정을 나누다가 사생아를 낳았다.

                  그때 목종에게 아들이 없어 태조의 아들이던 왕욱의 직손이며, 법통을 이어받을 대량원군이

                  왕위 계승자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왕태후는 대량원군을 없애고, 자신의 사생아를  옹립하기 위해 목종에게 참소하여

                  대량원군을 숭경사에 가두고 죽일 틈을 엿보았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다시 삼각산 신혈사로 옮기도록 하였다.

                  신혈사도 진관이 혼자 수도하는 곳이기 때문에 살해하기 쉬울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이 사실을  눈치챈 진관이 본존불을 안치한 수미단 밑에 지하굴을 파서 열두살인 대량원군을 숨겼으므로

                  왕태후가 보낸 자객의 화를 면할 수 있게 되었다.

                  3년뒤 목종이 죽자 대량원군은 개경으로 돌아가 현종이 되었고, 1011년 진관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신혈사 자리에 대가람을 세우고 대사의 이름을 따서 '진관사'라고 하였다.

 

                  그뒤 진관사는 임금을 보살핀 은혜로운 곳이라서 여러 임금의 각별한 보호와 지원을 받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