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아름다운 한옥 '안동 임청각'

nami2 2015. 11. 12. 23:53

             경북 안동시 법흥동 20번지, 아름다운 한옥 '임청각'은  영남산 동쪽 기슭에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는

             배산 임수의 풍수적 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저택으로  낙동강변 경사진 언덕에 위치하고 있어

             부근에 있는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제16호), 고성이씨 탑동종택과 함께 관람할 수 있었다.

             임청각은 1963년 1월 21일에  보물제182호로 지정된 고택이다.  

                                               임청각 행랑채                    

                                       임청각 안채 마당에 있는 우물이 제일 먼저 눈에 띄었다.

                                        된서리가 내린 날에 마루 끝에는 끝물 호박이 즐비하다.

                  임청각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살림집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500년간의 역사를 지닌

                  고성이씨 종택 중의 한 곳이다.

                  99칸 기와집으로 알려진 이 집은 안채, 중채, 사랑채,사당, 행랑채는 물론

                  아담한 별당'군자정'까지 조성된 조선시대 전형적인 상류층 주택이다.                 

                                    명품 고택 안동 임청각'이라는 현판이 이집을 한번 더 눈여겨 볼 수 있게 했다.

                                         그윽한 국화향기가 고택을 더욱 멋스럽게 했다.

                                                             군자정 뒷편에 있는 사당 입구

 

                          사당은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앞쪽에는 제사준비를 할 수 있도록

                          빈칸 정도의 툇마루를 두고 있다.

                                         국화 향기, 모과향기, 가을향기, 고택향기........그냥 좋았다.        

                                                      별당 '군자정' 입구

 

                    임청각은 중종 때 처음 지었으며, 영조 때 중건해서 99칸이 되었는데

                    일제 강점기 때 중앙선 철도가 집 앞을 지나가면서 행랑채를 비롯한 부속건물들이 철거되어

                    그 규모가 많이 줄어들어서 지금은 70여칸만 남아 있다고 한다.

                    건물은 살림집에 해당하는  안채와 행랑채이고

                    조선중기에  지은 건물이 아직도 남아 있는 별당 건물인 군자정과 사당 등이 있다.

                                                           군자정

 

                            군자정은 이 집을 처음 지은 중종 때 부터 있었던 건물로

                            우리나라에 가장 오래된 한옥이며, 원형이 잘 보존 되어 있어서

                            보물로 지정 되었다.

                                 군자정은  바깥주인 손님을 접견하는 사랑채로 지어진 건물로

                                '丁'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군자정은 목조건물로 보기드물게 임진왜란을 겪은 오래된 건물이다.           

                임청각은 상해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을 비롯하여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집으로 국가 현충시설로도 지정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