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계룡산 갑사 팔상전 그리고 부도탑

nami2 2014. 10. 30. 00:23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자락의 '갑사'는 절 중에서 으뜸이라 하여 갑사(甲寺)라고 이름 지어졌으며

               계속되는 중창을 거듭하여 통일신라 때는 의상대사가 중수 하면서 신라의 10대 종찰이 되어

               전국의 중요 사찰 중 하나로 꼽혔다.

               그 명성은 억불정책이 심했던 조선시대로 이어져, 세종 때는  오히려 승려 정원도 70명 더 허가 받고

               토지도 하사받기도 했다고 한다. 

                                                    갑사 표충원(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52호)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운 승병장

                               서산대사 휴정, 사명대사 유정, 기허대사 영규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

                               갑사 표충원은 1783년(정조7년) 강시영의 주도로 이루워졌으며, 영규대사가 계룡산 갑사에

                               출가하고 불도를 닦은 인연으로 갑사 표충원을 창건한 것이라고 하는데

                               건물의 규모는 정면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표충원 앞 마당에 영규대사 기적비가 세워져 있다.

                                                               가을속에 들어앉은 '표충원' 풍경                                  

                                                                   갑사 팔상전 입구

                                                    갑사 팔상전(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54호)

 

                                   팔상전에는 석가모니불과 팔상탱화 그리고 신중탱화를  모시고 있다.

                                   팔상전은 정면3칸  측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에 삼량집 구조이다.

                                   건물 구조는 작지만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 있는 다포양식으로 꾸며 격식을 갖추고 있다. 

                                                                     팔상전의 석가모니불

 

                                 팔상전의 팔상 탱화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8부분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며

                                 신중탱화는 불교의 호법신을 묘사한 그림으로  호법신은  대개 우리나라 전통신들이다.

                                                                             가을의 상징!!

                                                    팔상전 앞에서 바라본  갑사의 멋스러움!!

                                                                                갑사 부도전

                                       갑사 부도전에는 18기의 조선시대 승탑 형태인 석종형 부도가 세워져 있다.

                                       1657년에 세워진 현은당, 1815년에 세워진 낙서당 외에도

                                       글자가 지워져 연대를 알수없다고 한다.

                                                부도전에서 갑사 경내로 들어가는 길이 호젓하다.

                                             부도전 밑의 '국수집'의 가을 풍경이 아름답다.    

                                주차장에서 3분 정도의 거리에 '갑사가는 길'이라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음식점들이 즐비한 거리에 어울리지 않은  아름다운 글귀' 갑사 가는 길'의

                                입구에 세워진 장승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