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김삿갓 계곡을 지나면서....

nami2 2014. 8. 15. 00:18

                 강원도 정선군 사북면 고한리 '정암사'에서 경북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성혈사'로 가는 길은

                 먼 거리이지만 영월에서 31번 국도를 따라 고씨동굴방향으로 직진하여 장승공원과

                 와석재를 넘어 김삿갓 계곡을 지나갈 수 있었다.

                 낯선 곳에서  여행의 즐거움을 느껴보는 멋스런 길에 비가 내린다는 것이 장애가 되었지만

                 비가 내리는 것도 그나름대로 즐길 수 있다면, 장애를 극복하여 좋은 추억으로 남기는 것이다.  

                                                         김삿갓 계곡의 김삿갓다리

 

                              영월시내에서 단양방면으로 약 20km쯤 달려가면 김삿갓 계곡을 만나게 된다.

                                                              김삿갓계곡

 

                                 이 계곡은 경북 봉화군에서 발원하여 충북 단양군 영춘면 의풍리를 지나

                                 와석리로 흘러 계류를 이루며 옥동천을 지나  단양,충주,여주로 흐른다.

                                

                                 인근에 방랑시인 김삿갓의 묘소가 있어서 유명해진 곳이다.

                                 이곳은 김삿갓이 생전에 무릉계곡이라고 불렀을 만큼 경치가 빼어나며

                                 오염이 안된 청정지역이다.

                         향토사학가로 김삿갓의 생애와 발자취를 쫒아 일생을 바친 '박영국 선생'의 공적비 앞에서

                                          김삿갓 묘소로 가는 길이다.

                                                                        성황당

                                                      김삿갓 묘역으로 가는 길 입구

                                                                    김삿갓의 묘

 

                                         1863년에 전남 화순군 동복에서 작고하여 그곳에 묘를 썼으나

                                         3년 후 둘째아들 익균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 모셨다.

                                                                         개미취

                                                                        미역취

                                                                           원추리

                                                        시원한 물이 흘러나오는 곳이 꽤 인상적이다.

               난고 김삿갓(김병연) 선생은 안동김씨 시조인 고려 개국공신 '선평'의 후예로 

               순조7년(1807년) 3월13일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에서

               부(父) '안근'과 모(母) 함평 이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출생하였고, 본명은 병연이고, 호는 난고이다.

 

               순조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 났을 때, 당시 선천부사였던 그의 조부 김익순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다.

               이에 역적으로 몰려 폐족 처분을 받아 가족이 영월로 옮겨와 은둔생활을 하였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 모친 함평 이씨는 자식들에게 조부의 사연을  숨긴채 글을 가르쳤다.

               

               김삿갓이 20세 되던 해에 영월 동헌에서 개최 되었던 백일장에 응시하여 선천부사 

               김익순을 비판한 글로 장원이 되었다.

               그 후에 김익순이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자책과 통한을 이기지 못하면서 서민들의 애환을 시로 읊어                

               조선시대 서민 문학의 큰 틀을 마련하였다.                                          

                        김삿갓 계곡을 지나서 영주로 가는 길은  승용차가 겨우 비켜갈 수 있을 정도의 숲길이다.

                       15분 정도 달려가면 영주로 가는 길인데, 빗속을 뚫고 달리는  숲속길은

                       1시간 정도 달려가는 것처럼 지루하고, 위험하고, 으시시하고 긴장되는 길이었다.

                                                백두대간 '마구령'이라는 팻말이 우뚝 서있다.

 

                       마구령(해발 820m)은 단양 영춘면 의풍계곡에서 민초들이 영주 부석장을 보기위해

                       넘나들던 고갯길이다.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 '양백지간'에 위치한 경북 영주 마구령을

                       몹시도 세찬 비가 내리는 날에 차로 달려 갔기에 두번 다시 가보고 싶지 않았던 으시시한 길이었다.

                       마구령은 길이 좁고 험해 백두대간을 따라 걷는 등산객이 찾기전 까지만 해도

                       인적이 드문 곳이었다고 한다.

 

                       영월 김삿갓 계곡에서 영주로 넘어 가는 길은 백두대간 '마구령'을 꼭 넘어가야 하지만

                       비가 내리는 날이나 밤길에는 무척 위험한 길이다.

                       아마도 지름길인 것 같다.

                       그렇지 않고서는 어찌 그렇게 무시무시한 고갯길을 넘어가야 하는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