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통도사 암자 '취운암' 마당가에서

nami2 2019. 9. 14. 23:42

          창문 밖으로 보여지는 둥근 보름달이 하루가 지났지만, 여전히 밝은빛으로 세상을 환하게 비추고 있다.

          시도때도 없이  비가 내리지 않으면, 마냥 날씨가 흐리기만 했던 9월이었기에

          차례 지내고, 차례지낸 것 치우는 것이 한나절, 그리고 성묘 다녀오고....

          하루종일 피곤하다는 핑계로 추석날 밤인데도 ,날씨탓을 하면서 달이 뜰것인가에 관심도 갖지 않았는데

          추석이 하루 지난 '음력 16일'에 창문가의 책상앞에 앉으니, 밤하늘 한복판에 달빛이 훤히 비추고 있었다.

          거리를 자로 재어본다면  달이 떠있는 하늘과 책상 앞 의자에서 바라보는 달과의 거리는 일직선이 되는듯 했다.

          일부러 달을 보기위해서 시간을 맞춘것만 같은....

          그래서 자꾸만 하늘을 바라보게 되는데 ,추석이 하루 지난 밤에 바라보는 휘영청 밝은 달도 볼만했다.

            통도사 산내암자 '취운암' 마당가에 핀 꽃들이 제법 예뻤다.

            화려하지도 않으면서도 소박하게 아름다운 꽃들 때문에  한참을 머물러 있었다.

            요즘은 귀한꽃이 되어버린 '맨드라미'의 고운 빛깔이 혼자 보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을 해봤다.

                          때늦은 '산수국'꽃이  초가을에 암자 마당가에서 볼 수 있었다.

                                     기왓장 울타리 밑의 '봉숭화'

                 .

                    아직은 때이른  초가을 코스모스가 화사하지는 않았지만, 가을이니까 봐줄만 했다.

                                  꽃보다는 하늘이 예뻤다.

                                       백일홍

                   .

                                   봉숭화 색깔이 흔하지는 않았지만, 예뻤다.

                                                  노랑상사화

                    분홍색 상사화는 7월쯤에 많이 보았지만, 노랑상사화는 처음 보았다.

                    부안 내소사 가는길에 노랑상사화가 많이 피었다는 것은 언뜻 들었을뿐이지만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은 처음이라서 꽤나 신기했다.

                      .

                                                   흰색 나도샤프란

                             통도사 산내암자 취운암의 '영축총림 율원'

                           영축총림 율원의 사립문 앞에서도 괜히 긴장이 되었다.

 

                율원의 역사는  646년 , 신라의 자장율사가 중국에서 계율을 공부하다가  문수보살을 친견한후

                이때 받은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부처님의 가사를 통도사 금강계단에 모시면서

                우리나라 율법이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자장율사가 승려들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 올바른 율법에 의하여, 구족계를 받게 하기 위해

                통도사에서 금강계단을 설립함으로서 개설되었다고 한다.

                보통 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을 수좌, 강원에서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을  강사라고 부르며

                율원에서 계율을 연구하는 스님을 율사라고 부른다.

                율원은 일반적으로 강원 대교과를 마친 비구스님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고 한다.

           통도사 산내암자 취운암은 통도사의 대웅전을 짓고, 남은 돈으로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조선 효종 원년(1650년) 우운대사가 처음 지었고, 정조 19년(1795년) 낙운대사가 고쳐지었으며

           1969년에 태일화상이 다시 고쳐지었다고 한다.

           

           통도사  산내암자 중에서 가장 쉽게 갈 수 있는 암자가 취운암이다.

           통도사 개울가의 다리를 건너고, 숲길로 들어서서  '시탑전'에 참배한후

           산책하듯이 계곡의 물흐르는 소리를 들으며, 숲길을 걷다보면 막다른 길 끝에 '취운암'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