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진도 첨찰산 쌍계사

nami2 2015. 5. 16. 22:24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32번지, 진도에서는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 485m  첨찰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쌍계사'는 신라 문성왕19년(857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한 천년고찰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 말사이다. 

                                                                      진도대교

 

                               진도대교는 주소지가 이쪽 끝은 해남군이고, 저쪽 끝은  진도군이다.

                                                             진도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

                                             일주문을 지나서 쌍계사로 걸어서 들어가는 길

                                                          첨찰산 쌍계사 '해탈문'

                                                 해탈문을 지나서 바라보이는 쌍계사 전경

                                                               우화루는 강당으로 쓰이는 누각이다.         

                                                       우화루 앞의 100년 정도 된 '향나무'

                                              대웅전 뒤곁, 첨찰산 자락의 숲이 아름답게 보여진다. 

 

                           쌍계사 왼편 계곡을 따라 10여분의 산을 오르면, 천연기몀물 제107호인 50여 수종의

                           상록수림3,700평이 우거져 있는데, 우리나라 대표적인 상록수들 중의 하나로서

                           자연 그대로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서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 하고 있다고 한다. 

                                                             대웅전(전남 지방유형문화재 제121호)

 

                              대웅전은 1982년 대웅전을 해체 보수할 때 발견된 상량문의 연대가

                              강희 36년(숙종23년)이라는 기록이 나와 정확하게 1697년에 건립된 사실을 알 수 있다.

                              1m 높이의 자연석 기단 위에 주춧돌을을 놓고  건물을 세웠다고 한다.

                                        대웅전 중앙의 어간문은  4짝으로 빗살문이고 ,

                                        양쪽 끝간은  3짝으로  띠살문이라고 한다.                                           

                                         쌍계사 대웅전 영가단에는 세월호 희생자 명단이 적힌 위패가 있다.

                                               쌍계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제221호)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상은 나무로 만든 불상이라고 한다.

                                               불상을 만든 연대에 관한 기록은  밝혀지지 않다가

                                               조선 숙종 23년(1697)에 세워진 대웅전의 상량문이 발견 되어서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17세기 후반의 불상 양식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초파일을 앞두고 사찰마다 아름다운 오색연등 꽃이 피었다.                      

                                                                  .

                                                              광대수염

                                                              미륵불상이 숲속에....

                                                  .

                                                                              시왕전

 

                                         시왕전에 목조지장보살상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2호이다.

                                         1993년에 불상을 수리하던중 도명존자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1666년(현종7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원통전

 

                                         왼쪽 벽면의 관음보살의 벽화를 찍었는데, 햇볕 때문에

                                         벽면이 하얗게 나왔다.

                                                                 요사채

                                                          쌍계사 범종각

                                                                        진설당(선원)

 

                           쌍계사 계곡이 절 양쪽으로 흐른다고 해서 '쌍계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