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전라남도 무안 원갑사

nami2 2017. 9. 12. 00:06

           8월1일 여름 휴가를 핑계로 사찰순례를 다녀왔지만, 집안의 우환이 있어서 이제서 사진을 올리게 되었다.

           아픈 다리를 끌고 ,부산에서도 꽤나 먼길이었던 무안 까지 함께 다녀온 우리집 아저씨의 노고를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프다.

           이번 사찰순례에서는 법당에도 들어가지 못할 만큼  다리가  아파서,절마당에서 합장을 했야 했던  우리집 아저씨의

           고통스런  얼굴만  기억할뿐  참으로 정신 없었던 순례길이었다.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산길리 676번지, 바다와 산이 함께 있어 임해사찰이라고 하는 '원갑사'는

           영광 불갑사와 영암 도갑사와 함께 남도의 3갑사라고 불리는 신라 천년고찰이다. 

           통일신라, 신문왕때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하는 원갑사는  전남 무안에서 서해로 뻗어나간 해제반도의

           끝자락에 자리잡은 ,작고 아담한 사찰이다.

                                                        무량전(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42호)

 

                                                     무량전은  앞면3칸 옆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다.

                                                                    대웅전

                               .

                  원갑사의 옛이름은  당산사였고, 그 뒤에 강산사로 바뀌었다가 근래에 원갑사로 바뀌었다고 한다.

                  원갑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 말사이다.

                                             목조건물과 잘 어울리는 '부용화'

                                                            스님들의 수행공간

                                                                     술패랭이

                              .

                        원갑사 절마당 나무 밑에서 바라본 풍경은.....

                        날씨가 흐려서  정확히는 모르나 멀리 바다가 보이는듯 했다.

                        지금은  육지와 연결된 '지도'와 연결되었지만, 예전에는  원갑사가 위치하고 있는 강산이

                        해제반도의 끝자락이었다고 한다.

                                                          원갑사로 들어가는 입구

 

                 원갑사는  조선 순조4년(1804년)에 여관스님이 고쳐 지었고, 구한말인 순종2년(1908년)에는

                 사찰이 허물어지자 인근에 있는 목우암 신도들이 재건축 하였다는 내용이 사찰에 보관된

                 현판을 통해 전해져 오고 있다.

                                         무안 원갑사 일원은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85호로 지정되어 있다.

                     돌담이 성곽처럼 보여져서  절의 분위기도  그저 그럴것 같았지만

                     절마당으로 들어섰을때의 느낌은 참으로 아늑하고 예쁜 고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