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아름다운 섬 소록도에서

nami2 2015. 1. 22. 23:56

               꼭 한번 소록도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학창시절에 했었다.

               조금 더 나이가 들면서는  소록도에 가서 자원봉사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했었다.

               그렇지만 그것은 생각이었을뿐, 한번도 실행을 해보려고 노력은 하지 않았었다.

               이곳 저곳을 여행하다보니 이번에 소록도에 갈 기회가 생겼다.

               배타는 것을 무서워해서 소록도가 섬이었을때는 가보려고 노력도 안했지만

               다리가 생기고 육지와 연결되었다는 것을 인터넷에서 검색한 후 곧바로 다녀왔다.

               죽기전에 가보고 싶은 곳중에 한 곳인 '소록도'에 다녀온 것이다.    

                                                                         소록대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녹동항에서 소록도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거금도 연륙교라고도 한다.

                                                이곳을 '수탄장'이라고 한다.

                                                일정한 거리를  두고 눈으로만 혈육을 만나야만 하는 광경을 보고

                                                탄식의 장소라는 의미로 수탄장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

                                                           소록도 중앙공원 가는길

 

                           소록도는  섬 전체가 국립소록병원으로 지정되어 있고

                           한센병환자와 병원직원, 자원봉사자 등 6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고 한다.

                                                      바다 끝자락에 국립소록병원 건물이 보인다.

                                             바라보는 것만으로 아름다운 섬 소록도는 정말 멋진 곳이었다.

                             소록도는 지형이 어린 사슴과 비슷하여 소록(小鹿)이라고 했다고 한다.

                             섬 전체가 울창한 산림과 바다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이룰뿐만 아니라

                             섬 주변 곳곳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었다.

                                                            소록도에서 바라본 '소록대교'

 

                                     육지인 고흥반도와 소록도를 연결하는  다리는 2001년 6월에 착공하여

                                     2008년 6월에 완공하였으나 섬안의 연결 도로공사가 지연되어

                                     2009년 3월에 완전 개통 되었다.

 

                                    소록대교 뒷쪽 산 위에는 '나로호 우주센터'가 보인다. 

                                                벽화는 한센인과 비한센인 모습이 함께 어우러져서

                                                한센병에 대한 편견없는 세상을 염원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소록도 중앙공원 입구

                                                 보리피리로 유명한 '한하운'시인 시비

 

                                        한하운 시인은 한센병(나병)환자로 알려진 시인이다.

                                        1919년 함경남도 함주 출신으로 중국 북경대 농학원을 졸업했다.

                                        나이 17세때 한센 진단을 받고, 26세 전후에 재발하여

                                        이때 부터 세상을 등지고 살면서 한센병의 고통을 시로 읊었다고 한다.

                                                                황금편백(황백나무)

 

                                                       1914~1926년에 한국에 들어왔다.

                                           섬 입구에서 부터 중앙공원 까지 나무 데크로  조성된 산책로

 

                                          동쪽 해안에는 해수욕장이 있다.

                                          소록도는 일찍 부터 나환자 집단 거주지로 자리 잡았으며

                                          나환자 치료를 위해 건설된 국립소록병원은 1916년 도립자혜의원으로 출발하여

                                          지금은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시설이 잘 지어졌다고 한다.

                        전라도길, 소록도 가는 길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막히는 더위뿐이더라

                        낯선 친구 만나면, 우리들 문둥이 끼리 반갑다.

 

                        천안 삼거리 지나도  수세미 같은 해는  서산에 남는데

                        가도가도 붉은 황톳길

                        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찔름거리며 가는 길

                       

                        신을 벗으면

                        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

                        발가락이 또 한개 없다.

                        앞으로 남은 두개의 발가락이 잘릴때 까지

                        가도 가도 천리(千里),  먼 전라도길

                                                                                 한하운

 

                       

                        한하운님은  문둥이 시인으로 불린 나병환자 시인이다.

                        이 글은 1949년 월간 종합잡지 신천지를 통해 발표되어서 세상에 알려졌다.

                        한하운님은 소록도 나병환자 요양원으로 가는 길의 아픔과 고통을 시로 읊었다고 한다.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금대교를 건너면서  (0) 2015.01.26
국립소록도 병원의 중앙공원에서  (0) 2015.01.24
순천만 갈대밭에서  (0) 2015.01.20
순천만의 대대포구에서  (0) 2015.01.20
고흥 능가사 앞 '평촌' 마을 풍경  (0) 201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