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야생화

수국과 수련

nami2 2012. 6. 27. 00:32

                           전국의 가뭄을 알리는 뉴스 시간을 보면 목이 말라서 애를 태우는 식물들을 볼 수가 있었다.

                      가끔씩 비를 뿌리며 며칠째  맑은 날이 보이지 않은채~ 날씨는 춥다는 소리를 해야할 정도로 우중충이다.

                      이상스런 날씨속에서도 이곳 저곳에서는 쉴새없이 여름꽃이 피어나고 있었다.

                      접시꽃은 날이 갈수록 더욱 화려하게 피어나고, 수국, 수련, 능소화, 치자꽃..등이 피어나는 초여름은

                      이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수국이 이렇게 화려하게 피는 것을 처음 보았다.

                                            어느 산사의 대웅전 뜰 앞에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일본이 원산지 라고 하는 '수국은' 일본에 의해 서양에 전해졌는데

                                 서양에 전해진 것은 꽃이 보다 크고 연한 홍색,짙은 홍색, 짙은 하늘색 등으로 화려해졌다고 한다.

                                          범의귓가로 분류하는  수국은  낙엽관목으로서 개화기에 꽃을 채집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자양화 도는 팔선화라고 한다.

                                    민가에서는 감기 등으로 발열, 기침이 있을 때 말린 꽃을 1일 10g 정도를 물 3컵을  넣고

                                    절반으로 줄어 들 때 까지 끓인 후 식후 2시간 정도 지난 공복에 3번으로 나누워 마시면

                                    감기 치료 효과에 좋다고 한다.

                                         수국은 한자로 수구화(繡毬花)라고 한다.

                                  비단으로 수를 놓은 것 같은 둥근 꽃 모양 때문에 생긴이름이라고 한다.

                                  또한 수국은 흙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성질이 있는데, 흙이 산성이면 꽃은 파란색이 강해지고

                                  흙이 알칼리성이면 붉은색이 더 선명해진다.

                                                                                           수련

                                            수련은 연근이 생기지 않는다.

                                      줄기에 영양분을 저장하여 겨울을 나는데, 특히 열대 수련은 

                                      감자처럼 덩이줄기를 형성하여 영양분을 저장 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수련은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이며, 꽃을 지혈제나 강장제로 쓰는데

                                땅속 줄기에 녹말을 함유하고 있어서 일부 지방에서는 식용을 한다.

                                            앙증 맞게  피어 있는 하얀 수련의 꽃말은 '당신의 사랑은 순결합니다.'

                                          수련은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40여종이 있는데

                                     한국에는 수련과 애기 수련이 서식한다고...

                                     수련(睡蓮)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침에 피었다가  밤에는 꽃잎을 접는 꽃이라고 한다.

                              수련의 꽃말은 청순한 마음이다.

                                                  어느 산사의 뜰앞에 아주 작은 연못 속에 피어나는 수련 

 

                                        수련은  맑은 물을 좋아하며 어떤 흙탕물도 정화시킨다고 해서

                                  시든 꽃은 물 속으로 모습을 감추고, 열매도 물속에서 맺어

                                  추한 모습을 결코 보이지 않는, 고고한 자태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는 꽃이다.                        

'그림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수목원에서   (0) 2012.07.03
치자꽃의 달콤한 향기  (0) 2012.06.28
접시꽃이 피는 시골 길  (0) 2012.06.26
이른 아침 산책길에서  (0) 2012.06.26
텃밭에서 볼 수 있는 꽃  (0) 2012.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