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북한산 노적사로 가는 길에서

nami2 2016. 6. 29. 00:16

             북한산 노적사는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331번지, 북한산 노적봉 밑에 위치하고 있었다.

             북한산에 있는 사찰들 대부분은  등산을 해야만 갈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30도가 넘는  무더위에도

             어쩔수 없이 산행을 해야만 했다.

             북한산에는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162호로 지정되어 있는  북한산성이 있다.

             노적사가 창건된 원래 목적은  북한산성내의  중성문 일대를 관리하는 승영사찰이었다고 한다.

             북한산성에는 14개의 문이 있다고 하는데, 노적사로 가는 길에 중요한 두개의 성문을 들어갈 수 있었다.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을 경유해서 노적사로 가는 길에서.....

                                                                    조록싸리꽃

                                                                           만첩빈도리

                                      옛날 옛적에 사찰이 있었던 자리에, 천막 사찰에서 부처님을 모시고 있었다.  

                                                               중성문

 

            중성문은 북한산성 축성 다음해인 숙종38년(1712년)에 산성수비 보완대책의 일환으로 축조한 성이다.

            북한산의 노적봉과 증취봉 사이의 협곡에 쌓은 중성에 설치되어 있는 문으로

            북한산성 내부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쪽은 북한산성의 내성에 해당되며, 주요시설이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

            수비를 담당했던 군부대는 대서문과 대남문의 수비를 맡았던 어영청 유영이었고

            규모는 대서문 보다 조금 작으며, 문루는 1998년 복원했다고 한다.

            

            당시 별도의 중성을 축조한 이유는 지형이 평탄하고 취약한 대서문 방면이 적에게 뚫리더라도

            병목과 같은  이 일대 계곡을 차단하여   비상시에 임금이 대피할 수 있는 행궁,

            임금이 대피했을 때 먹을 어공을 저장하는 호조청, 산성의 재정을 관리하며 산성대장의 근무처인 경리청 등 등

            성내시설물과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차단성인 중성을 쌓았다고 한다.

                                                 깊은 산속, 성문 앞에 핀 해당화

                                                      .

                                                            중성문 옆에 딸린 '시구문'

 

                                      이곳은 성안에서 사람이 죽으면, 시신을 내가던 문이라고 한다.

                                                          땅비싸리꽃

                                                                산딸나무꽃

                                                                    꽃창포

                                                             산길에서 만난.........

                                      북한산의 봉우리들 중에 오른쪽 맨 끝이 노적봉이다.

                                                    오래전 부터 북한산을 지키고 있었을  장승

                                                                     대서문

                              대서문은  북한산성의 정문으로 성문 중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1712년 조선 숙종이 북한산성에 행차 했을때 대서문을 통해 들어갔다고 하며

                              성내에 마을이 있었을 당시에는 주민들이 이용하던 통로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북한산성은  조선시대 숙종(1711년)때, 고려시대의 중흥산성을 바탕으로 축성된 산성이다.

                              14개의 문, 3개의 장대와 함께 유사시 어가를  북한산성으로 옮길 행궁을 건립하였다.

                              둘레가 7,620보라고 한다.